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北-美 극한 대치 상황 속…靑, 마땅한 해결책 없어 '고심'

<앵커>

이렇게 미국과 북한의 강 대 강 대치가 계속되면서 청와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지금의 한반도 문제를 풀 만한 우리 정부의 지렛대가 마땅치 않기 때문입니다.

청와대 분위기는 남승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청와대는 국가안전보장회의 NSC 상임위를 소집해 북한의 도발 중단을 거듭 촉구했습니다.

특히 군사적 긴장 고조와 무력 충돌은 어느 나라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미국 측에도 사실상 자제를 요청했습니다. 북·미 간 대결이 이미 위험수위라는 겁니다.

[박수현/청와대 대변인 : 한반도 문제의 핵심 당사자인 우리 정부가 대화의 문을 열어두고 외교적 노력도 적극 전개하기로 하였습니다.]

문제는 우리 정부가 주도적으로 북한 문제를 풀어갈 지렛대가 마땅치 않다는 점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지난달 11일 국무회의 : 한반도의 문제인데도 현실적으로 우리에게 해결할 힘이 있지 않고 우리에게 합의를 이끌어낼 힘도 없다는 사실입니다.]

한미 공동성명에서 한국의 주도적 역할을 합의했지만, 이 역시 근본적인 북핵 문제 해결보다는 인도적 교류나 충돌 방지 같은 제한적인 남북문제에 맞춰져 있습니다.

청와대는 목함지뢰와 포격 도발로 충돌 직전까지 갔다가 고위급 회담으로 극적 타결을 이뤘던 지난 2015년 사례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북한도 미국과 전쟁을 원하는 게 아닌 만큼 결국, 어느 순간 대화에 복귀할 수밖에 없다는 판단에서입니다.

제제와 압박 속에서 북한이 국제 사회와 대화 창구로 우리 정부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게 최선의 해법인 셈입니다.

(영상취재 : 문왕곤·서진호, 영상편집 : 박정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