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文 "핵잠수함 건조" 첫 언급…열쇠는 미국 손에

<앵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 과의 전화통화에서 핵추진 잠수함의 필요성을 처음으로 언급했습니다. 북한의 잠수함발사미사일 SLBM이 실전배치 단계에 가까운 단계에 이른 만큼 우리의 방어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전력이라는 판단을 한 걸로 보입니다. 문제는 미국이 동의하느냐 입니다.

김태훈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 해군 주력인 1,200톤과 1,800톤급 잠수함은 짧게는 하루에 2·3번, 길게는 2주에 한 번 정도 물 위로 떠 올라야 합니다.

디젤 추진 잠수함이어서 축전지 충전을 위해 공기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핵 추진 잠수함은 수중에서도 전력생산이 무한대로 가능해서, 이론상으로는 몇 개월씩 부상하지 않고도 수중 작전이 가능합니다.

70여 척의 북한 잠수함 전력을 따라잡기에는 핵 잠수함이 훨씬 유리하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입니다.

노무현 정부 때인 지난 2003년, 군은 핵 추진 잠수함 3척 건조를 목표로 이른바 362 사업단이라는 비밀 조직을 구성했습니다.

362 사업단은 핵심기술인 잠수함용 원자로 기본설계까지 마쳤지만, 활동이 외부에 알려지면서 출범 1년 만에 와해됐습니다.

[문근식/전 362 사업단장 : 지금은 북한이 핵무기를 개발하고 SLBM을 개발해서 수시로 위협하고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우리의 안보뿐만 아니라 미국에게도 위협이 되고 있어요. 반드시 핵 추진 잠수함을 건조해야 합니다.]

핵 잠수함 건조의 최대 관건은 미국의 동의입니다. 핵 잠수함에는 최소 20%의 농축우라늄이 사용되는데, 이걸 해외에서 사 오더라도 미국의 동의가 있어야 군사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미국이 동의하면 2020년대 후반까지 한국형 3천 톤급 잠수함 9척을 건조하는 '장보고-쓰리' 사업의 마지막 3척을 핵 잠수함으로 개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