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그러려니 했다간'…만성피로, 뇌에 이상 변화 만든다

<앵커>

이번주도 피곤하셨죠? 이 피곤은 누구나 겪는 증상이라 그러려니 하고 놔두기 쉽습니다. 그런데 미국 스탠퍼드 대학이 피로가 반년 이상 계속된 사람의 뇌를 MRI로 검사해봤더니 특정부위가 쪼그라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현병이나 우울증 초기 변화와 비슷했습니다. 만성 피로 그냥 놔둘 일이 아니라는 거죠.

조동찬 의학전문기자가 설명하겠습니다.

<기자>

최근 몇 달 동안 계속 피곤함을 느끼고 있는 직장인 한현식 씨의 건강상태를 점검해봤습니다.

[한현식/직장인 : 아침에 일어날 때 머리가 좀 많이 무겁고요. 그다음에 좀 이렇게 식사를 하고 나서 좀 졸립니다.]

[(어떤가요?) 지방간이 조금 있고요, 그 외에 특이 소견은 없는 걸로 보입니다.]

오랫동안 피곤해도 막상 검사해보면 특별한 병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상태가 6개월 이상 계속되면 만성피로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만성피로증후군 환자 : 만성피로라고 남들이 얘기하니까 이게 만성피로구나 하는데 한 10년 다 돼가는 것 같아요.]

충분히 쉬어도 피곤이 풀리지 않는 특징이 있는데, 세브란스병원이 만성피로증후군 환자 18명의 뇌를 MRI로 분석해봤습니다.

만성 피로 증후군 환자가 일반인보다 시각, 청각 자극을 받아들이는 뇌 부위와 이를 적절히 판단하게 하는 뇌 부위를 연결하는 회로가 2배, 3배나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있었습니다.

이럴 경우 자극을 과도하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또, 우울하고 환청이나 환상까지 들릴 수 있습니다.

실제로 조현병, 우울증 초기 상태에 흔히 나타나는 뇌 변화입니다.

최근 미국 연구에서는 피로하다고 생각할수록 뇌 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광준/세브란스병원 노년내과 교수 : '피로하다'라는 생각을 할수록 뇌에 그 부위가 자극이 되고 자극된 부위는 운동기능을 위축시키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만성 피로 환자는 운동은 가볍게 해야 하고 깊은 잠을 잘 수 있도록 수면 패턴을 조절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영상취재 : 김찬모, 영상편집 : 윤선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