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수면 무호흡증' 치매 부른다…나쁜 단백질 배출 막아

<앵커>

중년의 나이에 들어선 분들 가운데 잠잘 때 코를 골면서 가끔 호흡이 멈추는 수면 무호흡증을 갖고 있는 분들이 적지 않은데요. 만성피로에 심장병 위험도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그런데 조기에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으면 50대 이후 치매에 걸릴 위험이 아주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조동찬 의학전문기잡니다.

<기자>

코골이, 수면 무호흡증이 있으면 잠을 충분히 자도 피곤함을 느낍니다. 뇌에 산소 공급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희진/수면장애 치료 중 : 술 먹고 나면 그 술기운이 좀 남아 있는 듯한 그런 기분이 좀 남아 있었습니다, 자고 일어나면 뒷골도 좀 당기고 ….]

분당서울대병원이 치매증세가 전혀 없는 수면장애 환자의 뇌를 특수한 장비를 이용해 검사해보니 수면장애가 없는 사람보다 알츠하이머 치매 유발 단백질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깊은 잠을 잘 때 뇌에 쌓인 나쁜 단백질이 밖으로 배출되는데 이게 안 되는 겁니다. 이럴 경우, 65세 이후에는 치매 위험도가 급격하게 높아집니다.

이미 치매로 진행된 후에는 회복이 어려워서 치료를 서둘러야 합니다.

[윤창호/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 : 아밀로이드 제거하는 무슨 약물이나 항체 요법 이런 것들이 전부 다 실패한 이유가 이미 발병하고 나면 아밀로이드를 없애줘도 회복이 안 된다는 거거든요.]

가장 흔한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는 코에 바람을 불어 넣어 주는 양압기가 일반적이지만 정확하게 진단한 뒤 자신에게 맞는 치료법을 선택하는 게 좋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