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신분당선, 무임승차 폐지 요청 논란…"연 손실 140억"

<앵커>

현재 만 65살 이상의 노인과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합니다. 그런데 최근 고령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지하철 적자 규모가 해마다 커지고 있는데, 서울 강남과 경기 성남을 연결하는 신분당선이 무임승차 혜택을 폐지하겠다고 나서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한승환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11년 10월, 민자 투자로 개통해 강남에서 수원 광교 구간을 운행하는 신분당선. 이용 승객이 당초 예상의 절반에도 못 미치면서 누적 적자가 4천억 원에 육박합니다.

신분당선 측은 특히 지난해 무임승차 승객 비율이 전체 승객의 16.4%나 돼 이로 인한 손실만 140억 원에 달한다고 주장합니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에 노인과 장애인에게도 요금을 받을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신분당선 운영사 관계자 : (개통) 6년 이후에 유임으로, (요금을) 받는 것으로 (협약에) 되어 있다는 거죠. 앞으로도 이런 것들이 해결되지 않으면 추가 손실이 계속 발생할 것은 예상되죠.]

국토부는 일단 관계부처와의 논의를 거친 뒤 신분당선과의 협의를 진행하겠다며 아직 정해진 것은 없다는 입장입니다.

시민들의 반응은 엇갈립니다.

[임지생/서울 강남구 : 형평성에 안 맞네요, 신분당선만 거기에서 빠져나오겠다는 것은. (제도를 시행) 해보고 안 된다, 이러는 것은 굉장히 국민들을 우롱하는 것이죠.]

[안승완/서울 동작구 : 요금을 좀 내야 해요. 왜냐하면, 국가 예산도 생각해야 하고… 지금 65세는 사실 옛날에 비하면 30~40대밖에 안 돼 보여요.]

지하철을 운영하는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들도 국정기획위원회에 무임승차로 생기는 손실을 보전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

국토부가 신분당선 측의 요구를 받아들일 경우 서울 지하철 등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