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적자'라며 차량 보험료 올리더니…'흑자'에는 침묵

<앵커>

손해보험사들은 적자가 심하단 이유로 거의 매년 차량 보험료를 올려왔습니다. 그런데 올해 1분기에는 900억 원이 넘는 이익을 냈습니다. 적자 때 올렸으니까 흑자 나면 내리는 게 맞는데 그걸 지키는 회사가 별로 없습니다.

손승욱 기자입니다.

<기자>

10년 넘게 무사고 운전자였던 회사원 홍 모 씨는 최근 접촉 사고를 냈습니다. 그런데 보험료가 예상보다 더 많이 올랐습니다.

[홍 모 씨/회사원 : 사고 안 냈을 때에는 (보험료를) 내려주겠다는 말도 없었고, 아주 조그마한 사고 냈더니 보험료가 10% 정도 오를 수 있다고 하니까 제가 좀 당황스럽네요.]

자동차 보험료는 2015년 자율화 이후 매년 3% 안팎으로 꾸준히 인상됐습니다. 보험사들은 적자가 심하다는 걸 인상이유로 내세웠습니다.

하지만 최근엔 상황이 바꼈습니다. 손해보험사들의 영업이익은 올해 1분기에만 900억 원 이상이고, 지난해 투자 운용수익도 2,500억 원을 넘어섰습니다.

보험료를 꾸준히 올린 데다가 지난겨울, 폭설이 적게 내려 사고가 줄었기 때문입니다.

사정이 이런데도 손해보험사 11곳 가운데 겨우 2곳만이 보험료를 찔끔 인하했을 뿐입니다.

[방태진/손해보험협회 부장 : 8월에는 피서객들의 많은 이동이 있을 수 있고, 태풍이나 해일 같은 계절적인 피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손해율을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손보사들의 행태에 대해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조남희/금융소비자원 대표 : (보험료가) 떨어질 때는 안 떨어뜨리고, 올릴 때는 빨리 올리는 이런 경직된 운영이 보험료 부담을 높이는 쪽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손해보험사들의 담합 의혹까지 일자 공정위는 곧 조사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

(영상편집 : 윤선영, VJ : 유경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