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인수위 없이 임기 시작…'한반도 위기설' 실마리 풀어낼까

<앵커>

이번에는 정치부 한상우 기자와 함께 이번 선거 결과 짚어보겠습니다. 한 기자 어서 오십시오.

일단 문재인 당선인이 개표 초반부터 넉넉하게 앞서서 승리를 이뤄냈어요.

<기자>

출구조사 결과에서 41.4%로 당선 유력, 이렇게 나왔는데 그다음 진행되는 과정이 쭉 계속 선두권을 유지하면서 앞서 나갔고 최종 개표 결과는 554만 표 정도 차이로 당선이 확정이 됐는데, 이 554만 표는 직선제가 도입된 이후에 가장 큰 득표수 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앵커>

지역별로 보면 17개의 광역자치 단체 중에 14곳이 문 후보의 승리였거든요, 이렇게 보면 압도적인 승리라고 볼 수 있죠?

<기자>

네, 사실상 전국적으로 고른 지지를 받았다, 적폐청산, 정권교체, 이런 문재인 후보의 가치가 국민의 고른 지지를 받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 특히 서울에서는 서울의 모든 구에서 전승을 했는데, 강남 3구에서도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 부분이 큰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고요, 그리고 또한 자유한국당의 텃밭 중 하나인 부산, 울산에서도 문재인 후보가 1위를 차지한 부분도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앵커>

지역별로는 대결 양상이 적었다면 세대별 대립 양상은 상당히 뚜렷했죠?

<기자>

지상파 3사 출구조사 결과를 분석해 본 결과 세대별 쏠림 현상이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 당선인은 20대 47.6%, 30대 56.9%, 40대 52.4%의 지지를 받은 반면, 홍준표 후보는 8%에서 11%에 그쳤습니다.

50대에서도 문 당선인은 36.9%의 지지율로 홍 후보를 10%포인트 넘게 앞섰는데요, 60세 이상에서는 상황이 정반대로 바뀝니다.

문 당선인은 6, 70대 지지율에서 25%를 넘지 못한 반면, 홍 후보는 60대에서 45.8%, 70대에서는 50.9%를 기록했습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로는 20대에서 50대는 부패와 비리 청산에 가치를 뒀고, 60대 이상은 '안보'를 꼽은 게 이런 세대별 차이의 이유로 보이는데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반대한 비율이 60대 이상에서 높았던 것도
세대별 표심이 갈린 이유로 볼 수 있습니다.

<앵커>

인수위 없이 바로 정부가 출범하는데, 많이 혼란스러울 것 같은데요.

<기자>

선거 과정에서도 논란이 됐던 부분이죠, 안보 문제이면서 외교 문제인 바로 사드 배치 문제입니다.

문 당선인은 사드 배치는 새 정부가 재검토해야 하고, 국회 인준 동의 받아야 된다, 여전히 이런 입장입니다.

하지만 한미동맹관계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사드 문제를 풀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데요, 문 당선인은 최근 외신 인터뷰에서 당선 뒤 가장 먼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습니다.

이 부분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과연 트럼프 대통령을 가장 먼저 만나서 한반도 위기설과 북핵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실마리를 풀어낼 수 있을지 주목되는 부분입니다.

<앵커>

정치권, 국회에서도 좀 협조를 끌어내야 될 게 여당이 된 더불어민주당 의석이 120석이기 때문에 다른 당의 도움을 받아내야 한단 말이죠. 

<기자>

120석이면 국회 전체 300석 중에서 과반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당연히 야당의 도움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우선 새 정부 국무총리 지명자에 대한 국회 동의를 받아야 하고 국무위원을 임명해 내각을 꾸려야 합니다.

총리 인준 절차에서부터 야당에 발목 잡힐 경우 국정 동력을 상실할 수도 있는 겁니다.

또 공약으로 내세웠던 각종 핵심 공약을 입법화하려 해도 야당의 협조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문재인 당선인은 이미 "합리적인 진보와 개혁적 보수 진영을 망라해 드림팀을 만들겠다"며 통합정부 구성안을 여러 차례 밝혔는데요, 정파와 지역, 세대를 뛰어넘어 야당과도 함께할 수 있다는 대탕평 원칙을 얼마나 실행할 수 있을지가 국정운영을 성공할지 말지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