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수입차 수리비 감독 심해지자…"드릴 날도 계산" 꼼수

<앵커>

수입자동차는 부품값이 워낙 비싸서 차량 수는 전체의 6%에 불과한데도 수리 비용은 21%나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부가 단속 때문에 부품값 인상이 어려워지자 소모품 값을 부풀리는 편법으로 수리비 바가지를 씌우고 있습니다.

손승욱 기자가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기자>

한 수입차 정비업체가 차를 고친 뒤 발급한 명세서입니다.

수리 내역이 암호처럼 돼 있어 일반인들은 도저히 알 수가 없습니다.

[이 모 씨/수입차 정비 경험자 : 이것(수리비 청구서)을 다 안다는 것도 사실 조금 어렵죠. 그냥 '이 정도 금액이 나왔습니다' 하면 그냥 금액만 보고 넘어가는 것 같아요.]

정비 전문가와 항목들을 살펴봤습니다.

드릴 날이나 그라인더 날과 같은 정비용품들이 포함돼있습니다.

마치 해당 차를 정비하기 위해 소모품처럼 다 써버린 것으로 돼 있는 겁니다.

[정비업체 직원 : 개당 3만 원에서 5만 원 정도 가는데 차 한 대당 (날을) 하나씩 쓰지는 않아요. 그거 가지고 몇십대 쓸 수도 있는 거고요.]

또 다른 정비내역서도 사정이 비슷합니다.

도장비에 포괄적으로 포함되는 부식방지제까지 포함돼있습니다.

[정비업체 직원 : 면도칼이라든가, 소모품에서 붓이라든가, 왁스(부식방지)라든가 그런 부분을 세분화해서 하나하나 (끼워) 넣은 거죠. 그런데 그걸 그렇게 청구한다는 거죠, 고객님 모르게 그냥….]

일부러 비싼 부품을 사용해 수입차 수리비를 부풀리는 것에 대한 관리 감독이 엄격해지자 일부 정비업체에서 이런 꼼수를 쓰고 있는 겁니다.

한해 이렇게 부풀려진 수리비가 수십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부풀려진 수입차 수리비는 전체 자동차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