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현대차, 엔진 결함 '리콜' 축소 의혹…눈 감은 국토부

<앵커>

현대자동차가 최근 결함 논란이 있는 세타2 엔진을 사용한 차량 17만여 대를 리콜한다고 발표했었는데요, 그런데 이보다 앞서 주무부처인 국토부는 문제 차량이 22만 대를 넘는 걸로 파악하고도 현대차의 주장을 그대로 수용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박수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10월부터 조사한 현대기아차 세타2 엔진 제작 결함에 대한 보고서입니다.

결함 가능성이 있어 조사가 필요하다고 본 차량은 5개 차종, 22만 4천여 대에 달합니다.

현대차가 지난 6일 발표한 리콜 계획 17여만 대보다 5만여 대가 더 많습니다.

현대차는 국내 리콜 대상을 2009년부터 2013년 8월까지 생산된 차량으로 한정했지만 국토부는 북미지역의 리콜 대상과 마찬가지로 2015년까지 생산된 차량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고 본 겁니다.

국토부 보고서에는 미국과 국내에서 발생한 차량 시동꺼짐 현상은 동일한 원인이라고 적혀 있습니다.

[국토부 관계자 : 우리는 원인을 보는 데가 아니고 증상을 보는 곳이거든요. 증상은 우리는 같다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대차는 북미 지역과 국내에서 발생한 차량 결함은 서로 다른 원인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현섭/현대자동차 홍보팀장 : 미국에서 리콜했던 사항들은 공장 전반적인 청정도 문제에서 발생됐던 사항들이고요. 이번 국내에서 실시하는 리콜에 관련된 부분들은 가공 과정에서 오일홀 쪽에 이물질이 남아 있는 부분들이 깨끗하게 정리가 안돼서 (생긴 문제입니다.)]

국토부는 결국 현대차의 계획대로 17만여 대 리콜을 그대로 승인했습니다.

[박용진/더불어민주당 의원 : 현대차가 국민과 소비자의 안전을 무시하고 눈속임해 온 정황이 드러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토부가 현대차 봐주기로 일관하는 것은 직무유기….]

국토부는 현대차의 리콜 계획에 대한 적정성 검토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