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김기춘이 응징·불이익 주라고…" 전직 장관의 증언

<앵커>

박 전 대통령의 탄핵 사유엔 포함되진 않았지만, 탄핵심판 법정에선 문화계 블랙리스트의 진상을 엿볼 수 있는 증언들이 나왔습니다. 특히, 유진룡, 김종덕 두 전직 장관의 진술이 중요했습니다. 이들은 많은 문화계 인사들이 불이익을 당했고 이걸 막아보려던 공무원들이 자리에서 쫓겨났다고 털어놨습니다.

이한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권과 다른 생각, 정부에 비판적인 의견을 탄압하라는 요구가 이어졌다고 담당 부처 장관은 털어놨습니다.

[유진룡 전 장관/1월25일 탄핵심판 9차 변론 : 김기춘 전 실장이 정부 비판세력에 대한 응징과 불이익을 주라고 끊임없이 (연락이) 왔습니다.]

대통령을 직접 만나 반대세력을 포용해야 한다고 말했지만 먹히지 않았습니다.

[정부에 비판적인 생각과 의견을 들어야 한다고 말했을 때 (대통령이) 그럼 대한민국 모든 사람의 의견을 들어야 하냐며 역정을 냈습니다.]

블랙리스트에 오른 인물이나 단체에 대한 지원을 배제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공무원이 공직에서 쫓겨나기도 했습니다.

[김기춘 전 실장이 영화 변호인이 나왔을 때 문체 부에서 만든 펀드가 투자된 걸 보고 질책했습니다. (담당자에게) 책임을 묻고 강제퇴직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대통령 측은 오히려 블랙리스트가 필요하지 않느냐고 되물었습니다.

[대통령측 대리인단 : 국민들이 그거(블랙리스트) 있어야 하는 것 아니냐,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 않습니까?]

블랙리스트는 장관이 바뀌고도 문체부의 주요업무로 남았을 뿐 아니라 더욱 강도 높게 추진됐습니다.

[김종덕 전 장관/2월7일 탄핵심판 11차 변론 : 제가 오기 전부터 시행되고 있었던 문화예술분야 지원배제명단과 관련된 정책을 (주요 업무로 추진했습니다.)]

박 전 대통령은 블랙리스트 작성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된 김기춘 전 실장의 공범으로 적시된 만큼 관련 수사를 받을 전망입니다.

(영상편집 : 우기정)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