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사드 장비 일부 전격 공수…"정치 일정과는 무관"

<앵커>

사드배치를 둘러싼 한중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한미 군당국이 사드 장비 일부를 전격적으로 국내로 공수해 들여왔습니다. 국방부는 국내 정치 일정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했지만 부지조성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발사대와 일부 장비를 들여온 건 사드배치를 기정사실화 하려는 건 분명해 보입니다.

먼저 김수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발사대 2기를 비롯해 사드 장비 일부가 그제(6일) 밤 미군 C-17 수송기에 실려 오산기지에 도착했습니다.

미군 사드 장비가 한국에 들어온 것은 지난해 7월 두 나라가 주한미군에 사드를 배치하기로 결정한 뒤 여덟 달 만입니다.

국방부와 주한미군사령부는 사드 장비를 조기에 전개한 것은 북한의 군사 위협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문상균/국방부 대변인 : 고도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한미 동맹의 대응을 가속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은 "주한미군이 증원 전력이나 최신 전력을 요청할 때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하는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국내에 도착한 사드 발사대 등은 대기 상태로 있다가 성주의 사드 부지 조성이 마무리되면 운용 병력과 함께 포대에 배치돼 작전에 들어가게 됩니다.

X-밴드 레이더와 미사일 등 나머지 장비는 한두 달 안에 순차적으로 들어오게 된다고 군 당국자는 밝혔습니다.

국방부는 사드 장비 전개가 조기 대선 가능성 등 국내 정치 일정을 고려한 판단이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는 또 사드 장비 전개 사실을 중국에 사전 통보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