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왜 우리 집만 비쌀까?"…아파트별로 다른 전기요금

<앵커>

이웃 아파트 단지에 비해 우리 아파트 전기요금이 많이 나오는 것 같은데 그 이유를 모르겠다 하셨던 분들 계실 겁니다. 아파트 단지별로 한전과 요금 계약을 하고, 이때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는데 연간 수천만 원까지 요금 차이가 납니다.

보도에 심영구 기자입니다.

<기자>

600세대로 구성된 서울의 아파트 단지입니다.

지난 1년 동안 주민들이 납부한 전기요금은 모두 5억 3천만 원입니다.

각 가정의 사용량과 승강기나 관리실 등 공용시설 사용량을 합한 금액입니다.

[아파트 관리직원 : 공동(시설) 전기를 개인 세대로 전부 분할해야 하니까 (그걸) 합쳐서 계산하죠.]

하지만 이 아파트의 경우 한전과 맺은 전기사용 계약방식을 바꾸면 요금이 3천만 원 줄어드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아파트 전기요금 계약은 두 가지 방식입니다.

한전이 세대별로 직접 요금을 부과하는 종합계약은 공용 시설 요금은 싼 대신 세대별 요금은 높은 편입니다.

반면 단일 계약은 각 세대와 공용에 같은 요금을 적용하지만, 관리사무소와 요금 정산을 하는 번거로움이 따릅니다.

전국 아파트의 23%가 요금 납부의 편의성 등을 이유로 종합계약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아파트 관리직원 : (따져보니까) 차이가 별로 없기 때문에 종합계약 했던 걸로 그대로 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원 조사결과 종합계약을 한 아파트 31곳 가운데 17곳은 단일계약으로 바꾸면 요금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원은 통상 공용 전기 사용량이 전체의 25% 이하인 아파트는 단일계약이 경제적이라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장운석, 영상편집 : 염석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