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내년 학생들 역사교과서 없다?…추후 일정은

<앵커>

노유진 기자. 현장 검토본이라고 합니다만 반대가 상당히 거센 거 같은데, 이걸 교육부가 지금 강행하겠다는 겁니까?

<기자>

일단 국정 역사 교과서 문제 자체는 박근혜 정부의 굉장히 중점 사업이었는데요,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터지면서 동력을 잃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오늘 이제 현장 검토본을 공개하면서 교육부가 일정대로 가는 것처럼 보였는데요, 여기까지만 일정대로 공개가 되고 그 뒤의 부분은 사실 구체적인 논의가 되고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교육부 내부에서도 어떻게 할 것이냐에 대해서 굉장히 치열하게 고민하는 모습들을 보이고 있는데요, 오늘 이제 현장 검토본이 공개가 되고 나서 23일까지 이의 제기를 받겠다고 했지만 그 이후 일정이 사실 어떻게 되는지 모르는 상황인 거죠.

오늘 이제 현장 검토본이 공개가 되면서 역사학계, 정치권 또 일부 시도 교육감들까지 일제히 비판을 가하지 않았습니까?

그래서 아마 교육부에 부담이 상당히 커졌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앵커>

수정본을 또 마련한다고 하더라도 어쨌든 교육감들은 배포할 수 없다, 이런 입장이 크기 때문에 어쨌든 당장 내년에 학생들은 역사교과서가 없을 수도 있겠네요 그러면?

<기자>

그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일단은 일부에서는 심지어 세계사를 먼저 가르쳐야 한다 이런 얘기까지도 있는데요, 교육부는 일단 이의신청을 다음달 23일까지 받겠다 이렇게 얘기를 하고있습니다.

(다음 달 23일까지요?) 네. 그러면 일단 한 달 정도가 시간이 있는 건데요, 그동안 여러 가지 방안을 놓고 고민을 하겠죠.

지금 좀 논의되고 있는 것 중 제가 설명 좀 드리자면 첫째로는 시범학교에 먼저 공급을 하자 이런 얘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시범학교에 공급을 하면 일선 학교에는 공급이 되지 않는 거고, 그 학교에서만 국정교과서를 쓰는 거로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 다른 방안으로는 여러 가지 방안들이 있지만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를 혼용해서 써보자 이런 얘기들이 있는데요, 이게 또 문제가 되는 게 지금 대통령령에는 국정교과서가 있을 때는 역사 과목 같은 경우에는 국정교과서로만 가르치게 되어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이렇게 혼용해서 쓰려면 대통령령까지 반드시 바꿔야 하는 그런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앵커>

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겠군요. 학생들이 어쨌든 피해를 보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노 기자 잘 들었습니다.  

▶ [비디오머그] 국정교과서 집필진, 현대사 역사 전문가 0명…이유는?!
▶ '1948년 대한민국 수립'?…"친일 미화" 반발
▶ 국정 역사교과서 공개…달라진 내용 살펴보니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