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SBS 미래한국리포트…저출산 위기 해법 모색

<앵커>

우리나라의 생산가능인구가 처음으로 내년부터 줄어들면서 경제는 물론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충격이 우려됩니다. 잠시 뒤 열리는 제14차 SBS 미래한국리포트에서 국가적 위기가 된 저출산의 원인을 진단하고 그 해법을 모색해봅니다.

신승이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지난 2008년부터 전체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한 일본, 내수침체로 인한 경제불황이 양극화로 이어졌고, 복지재정을 둘러싼 세대갈등 양상마저 나타나고 있습니다.

저출산으로 인한 위기는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닙니다.

당장 내년부터 만 15세부터 64세까지 생산가능인구가 처음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고령화 속도는 세계에서 가장 빨라 2018년 고령사회에,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합니다.

[김진일/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 국민연금 등의 재정부담이 늘어남으로써 세대갈등이 심각할 것이고 그것은 단순히 경제 문제뿐 아니라 정치적인 문제로 비화 될 가능성도 상당히 높다고 걱정이 됩니다.]

오늘(2일) 열리는 미래한국리포트에서는 인구 전환기를 겪고 있는 5개국 비교연구를 통해 저출산의 원인과 해법을 찾습니다.

이어 출산의 전제가 되는 가족형성을 위해 청년과 가족 복지 확대를 제안하고 출산율 제고를 위한 생활 속 공공성 회복의 중요성을 강조할 예정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