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개헌론 앞세운 제3지대론 시나리오…정치권 격랑

<앵커>

대통령이 개헌을 제안하고 나섦에 따라 정치권의 개편 가능성도 커졌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개헌을 고리로 내세운 이른바 제3지대론이 힘을 받으면서 대선주자 혹은 각 당의 계파간 합종연횡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정영태 기자입니다.

<기자>

여의도 발 정계개편론은 여야의 비주류인 비박계와 비문계를 중심으로 진행돼왔습니다.

권력을 분점하는 형태의 개헌론을 앞세워 새 정당을 만든 뒤 대선을 치른다는 이른바, 제3지대론 시나리오입니다.

여권의 정의화 전 국회의장과 이재오 전 의원, 야권의 김종인 전 대표가 대표적입니다.

[정의화/前 국회의장 (지난 5월) : 분권형 대통령제로 개헌할 것을 공약하고 정당들도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계 복귀 선언과 함께 개헌을 주장하며 민주당을 탈당한 손학규 전 대표의 등장은 제3지대론의 촉매제로 평가됐습니다.

[손학규/前 민주당 대표 (지난 20일) : 6공화국 체제에서는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더이상 나라를 끌고 갈 수가 없습니다.]

정계개편 논의에 떨어져 있던 여당 내 친박계도 개헌 추진 과정에서 움직일 여지가 생겼습니다.

친박 핵심 홍문종 의원이 거론한 반기문 대통령, 친박계 총리라는 구상이 이젠 가능할 수도 있게 된 겁니다.

[조원진/새누리당 의원 : (정부가) 지금 준비를 하겠다고 하니까 (개헌) 가능성이 굉장히 높은 거죠. 정치 빅뱅도 가능한 것 아니냐….]

하지만 개헌을 외치는 대선주자와 계파들도 내용과 목적이 다른 만큼 대규모 정계개편으로 이어질지는 예단하기 힘듭니다.

[박원호/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 : 정략적 이해관계를 갖고 이합집산을 목적으로 개헌논의를 꺼내는 것으론 유의미한 정계개편, 새로운 정치세력이 만들어질 가능성은 그렇게 높지 않다고 보입니다.]

내년 초 귀국하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개헌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갖고, 어떤 정치세력과 손잡을 지도 합종연횡의 범위와 폭을 가늠할 주요 변수 중 하나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