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4년 중임·분권형·내각제'…각 권력구조 특징

<앵커>

개헌의 방향에 대해선 여러 가지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만 일단 권력구조의 개편이 논의의 핵심이 될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

4년 중임제에서부터 분권형 대통령제 또는 의원내각제까지 거론되고 있는데, 어떤 특징들이 있는지 정성진 기자가 설명합니다.

<기자>

4년 중임제 개헌은 임기를 1년 단축하는 대신, 연임의 길을 터 놓은 걸로 요약됩니다.

5년마다 정권이 바뀌어 정책의 연속성이 끊기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대통령제를 유지하기 때문에 권력구조를 크게 손보지 않아도 되지만, 제왕적 대통령제라는 한계는 그대로입니다.

가장 큰 권력구조 변화는 의원내각제입니다.

제1당의 대표가 총리를 맡고, 소속 의원이 장관도 맡는 식으로 행정부를 장악합니다.

민의를 잘 반영한다는 장점, 정쟁이 심하다는 단점이 공존합니다.

두 형태를 합친 제도는 분권형 대통령제입니다.

대통령이 외교, 통일, 국방을, 총리가 내치를 맡는 절충안입니다.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의 장점을 살리자는 건데, 거꾸로 단점이 부각될 수 있습니다.

4년 중임제로 개헌이 이뤄질 경우, 현재 대통령은 차기 선거에 출마할 수 없습니다.

개헌안의 내용에 따라 대통령과 국회의원의 임기가 단축될 수도 있습니다.

우리 헌법이 내각제 또는 분권형 대통령제를 채택할 경우엔, 국회를 새로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현재 국회는 해산된다는 의견이 우세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