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부민관 의거' 현장을 아십니까?…서울시의회 재조명

<앵커>

지금의 서울시의회 건물이 일제시대 최후의 의열 투쟁, '부민관 폭파 의거' 현장이라는 사실 아십니까? 대부분 사라진 의열 투쟁 현장과 달리 이곳은 아직 우리 곁에 남아있습니다.

정혜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일제 패망 20여일 전인 1945년 7월 24일, 친일파의 거두 박춘금이 당시 시민회관이었던 경성 부민관에서 '아세아 민족 분격 대회'를 개최합니다.

[일본군 장군 역 : 박춘금 선생, 지금 관동대지진 때 했던 조선인 시체 청소, 그걸 이번엔 이 조선 땅에서 하겠다는 겁니까?]

바로 이날, 애국청년당 소속 유만수, 강윤국, 조문기 지사가 부민관에 잠입합니다.

[유만수 지사 역 : (폭탄 의거가) 위험하다 한들, 이 나라 꼴, 지금 이 세상보다 더하겠니.]

세 애국지사는 일제의 학살 음모를 막기 위해 폭탄을 터뜨렸고 집회는 열리지 못했습니다.

[조문기/지사, 2005년 생전 인터뷰 : 독립운동은 일제 마지막 순간까지 계속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건이라는 것에 (자부심을 느낍니다.)]

서울시의회 건물입니다.

[조완기/서울시의회 입법정책자문관 : 현재 의장단석이 무대라고 보고, 그 출입문 입구에서 터진 겁니다, 폭탄이.]

광복절을 앞두고 지상 12층 높이의 옥탑도 SBS 취재진에 처음 공개됐습니다.

일제 시대 서울에서 가장 높았던 곳이어서 시내 곳곳을 감시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관련 연구도 필요해 보입니다.

[이순우/민족문제연구소 책임연구원 : 일제가 만든 그 일제의 잔존물이라 하더라도 (그 속에 우리 민족의) 항거의식이랄까 그것이 오롯이 담겨 있는 공간입니다.]

의열 투쟁 현장 대부분이 사라진 만큼 부민관 의거 현장은 역사 교육의 장으로 새롭게 조명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설치환, 영상편집 : 박춘배)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