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선크림 발랐더니 하얗게 뜬 얼굴…파헤친 궁금증

<앵커>

흔히 선크림이라고 부르는 자외선 차단제. 요즘같은 때는 휴가지는 물론 평소에도 많이 바르고 다니실텐데요, 그런데 어떤 제품은 바르면 피부가 하얗게 되고 어떤 제품은 그렇지 않습니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궁금증을 김용태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시중에 나와 있는 자외선 차단제는 수십 가지입니다.

표시된 숫자도 성분도 모두 조금씩 다릅니다.

[임종화/서울 강서구 : 숫자자 적혀 있는데, 그게 무슨 뜻인지도 잘 모르겠고, 하얗게 안되는 게 중요한 거 같아요. 바르고 나갔을 때 약간 떠 보이면 촌스러워 보여서요.]

넓게 펴 발랐을 때 흰색이 금세 사라지면 자외선을 흡수해 소멸시키는 화학적 차단제, 흰색이 남아 있으면 방어막으로 자외선을 튕겨내는 물리적 차단제입니다.

물리적 차단제는 피부가 하얘지고 뻑뻑한 느낌이 들지만 피부 자극이 적어 어린이들도 바를 수 있습니다.

화학적 차단제는 부드럽고 잘 흡수되지만 화학 성분들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습니다.

[이상준/피부과 전문의 : 일반적으로 물리적 차단제가 덜 자극적일 수 있지만, 자신의 피부에 알맞은 제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A는 기미, 주근깨 원인인 자외선 A를 차단하는 정도, SPF는 주름을 만드는 자외선 B를 막아주는 정도를 말하는데 지수가 높을수록 첨가물도 많이 들어갑니다.

가벼운 야외 활동엔 PA++, SPF30 이면 충분합니다.

이론상 SPF 지수 1당 최대 20분간 효과가 지속돼, SPF 30이라면 600분, 즉 10시간 동안 덧바를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500원 동전 만큼인 적정량보다 적게 바르고, 땀에도 씻겨 나간다는 걸 감안해야 합니다.

[최현/화장품 연구원(이학 박사) : 3시간에 한 번은 덧바르는 게 좋고, 자전거를 탄 다든지 윈드서핑 같은 걸 하면 1시간에 1번 정도 덧바르셔야 하고요.]

스프레이 제품은 얼굴에 직접 분사하지 말고 손에 덜어서 발라야 화학물질을 흡입하지 않습니다.

(영상취재 : 박대영, 영상편집 : 이정택)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