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피해자 빠진 논란의 '화해·치유 재단' 출범

<앵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일정부간 합의에 따라 위안부 지원을 위한 화해 치유재단이 어제(28일) 공식 출범했습니다. 하지만 위안부 할머니는 한 분도 참석하지 않았고 격렬한 반대 시위가 이어졌습니다 .

류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화해·치유재단'은  피해 할머니들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 사업과 추도를 위한 상징적 사업의 두 가지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재단은 일본 정부가 부담할 10억 엔, 107억 원이 소녀상 이전과는 별개라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김태현/'화해·치유 재단' 이사장 : 소녀상과 연계돼서 10억 엔이 오느냐 안 오느냐는 절대 아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출범 행사장에는 생존해 있는 피해 할머니 40명 가운데 한 명도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김복동/91세, 위안부 피해자 : 지금 말이지 위로금 준다 이래 가지고는 합의됐다고 하는 거는 말도 안 되는 소리야.]

정대협 등 시민단체들은 일본 정부의 공식 사죄와 법적 배상을 요구하며 항의 집회를 열었습니다.

대학생 20여 명은 기자회견장을 기습 점거했다가 경찰에 연행됐습니다.

한 20대 남성이 재단 이사장에게 캡사이신을 뿌리며 항의하는 소동도 벌어졌습니다.

일본 정부의 10억 엔 출연 시기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는데 일본 정부가  한일간 외교 협의 과정에서 소녀상 이전 문제를 지속적으로 제기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