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주행 중 '외기순환' 했더니…미세먼지 더 마신다

<앵커>

미세먼지가 심해지면서 일상에서도 먼지 노출을 줄이려 많이 신경들 쓰실 텐데 매일 타는 자동차 안에서는 어떻게 하십니까?

외부 공기를 차단해야 좋은지, 아니면 순환을 시키는게 더 나은 건지, 정호선 기자가 알려 드리겠습니다.

<기자>

미세먼지가 심한 날, 차 공조장치를 외부와 통하게 해야 할까, 차단해야 할까?

[서정환 : 자연으로 이렇게 조금씩 들어오도록 (통하게 합니다.)]

[김혜경 : 전 차단하고 다닙니다. 외부공기가 들어오지 않게.]

결론은 미세먼지를 막기 위해선 외부공기 차단 모드를 선택하는 게 좋습니다.

국산·수입차 20개 모델을 외기 순환 모드로 약 1시간 주행하며 실내 미세먼지 변화를 측정한 결과, 14개 모델의 미세먼지 수치가 최대 22.2% 늘어났습니다.

내기 순환 모드로 주행할 경우엔 대부분 미세먼지 수치가 낮아졌습니다.

또, 외기 순환 모드 상에서 차종별로 미세먼지의 증가량이 달랐는데, 이는 공조장치의 성능 차이 때문입니다.

그 중에 가장 중요한 게 차량의 마스크에 해당하는 에어필터입니다.

주행거리 1만 킬로미터마다 바꿔주지 않으면 먼지가 쌓이고 2만 킬로미터를 넘으면 거름기능을 아예 상실합니다.

2만 킬로미터 달린 차의 에어필터를 뜯어보니 먼지가 뚝뚝 떨어질 정도로 심하게 오염돼 있습니다.

[박병일/자동차 명장 : 이거 먼지가 가득한 거예요. 비가 오거나 하면 습도가 생길 거 아니에요. 그러면 썩게 되잖아요. 그러면 공기와 세균 덩어리·미세먼지 같이 마시는 거예요.]

차 카펫도 주요한 미세먼지 발생원인입니다.

[두들기면요, 먼지가 자욱해요. 그냥 매트 하나 깔고 깔끔한 줄 아는데, 실내 그 밑에 카페트에 굉장히 오염 물질이 많다고 봐야되죠.]

진공청소기로 카펫 먼지를 제거해주고, 엔진공간 속 먼지와 이물질도 주기적으로 청소해줘야 합니다.

(영상취재 : 김승태, 영상편집 : 유미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