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양대 해운사 용선료 못 낮추면 법정관리"

<앵커>

정부가 생존위기에 몰린 해운회사 두 곳에 대해서 인위적인 합병은 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대신 가장 핵심적인 배를 빌리는 비용, 즉 용선료를 다음 달까지 낮추라면서 강도 높은 정상화 방안을 추진하라고 압박했습니다.

이호건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양대 해운사의 용선료 협상계획이 미흡하다는 판단 아래, 해운사와 해외선주에게 인하협상이 제대로 안 되면 사실상 청산절차인 법정관리에 들어갈 거라고 압박했습니다.

특히, 현대상선의 경우 다음 달 중순까지를 협상의 마지노선으로 제시했습니다.

[임종룡/금융위원장 : 새로운 산업구조로 변화해야 하는 절체절명의 과제를 안고 있으며 이는 미래 한국경제의 명운을 좌우하게 될 것입니다.]

정부는 두 해운사가 경영 정상화에 성공할 경우 12억 달러의 펀드를 조성해 초대형 컨테이너선 10척을 지어 빌려준다는 지원책도 내놨습니다.

하지만 두 해운사에 대한 인위적인 합병 계획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마찬가지로 구조조정 대상인 조선업에 대해서도 정부 주도의 통폐합 대신 채권단 중심의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요구했습니다.

[정부와 채권단은 사즉생의 각오로 기업 구조조정에 총력을 기울여 나갈 것입니다.]

정부는 뼈를 깎는 자구책을 전제로 조선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해 구조조정 부작용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구조조정에 필요한 재원 일부를 국책은행을 통해 정부 재정으로 충당하기로 해 결국 국민 세금 투입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