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정부 주도 합병·빅딜 같은 건 없다"…깨진 예상

<앵커>

정부는 또 구조조정 대상 기업들에 대한 정부 주도의 합병 그리고 '주요사업 주고받기' 이른바 빅딜은 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대신 보다 강도 높은 자구책을 요구하기로 했습니다.

이호건 기자입니다.

<기자>

현대상선과 한진해운의 합병, 대우조선해양을 분할매각하거나, 조선 3사 방위산업 부분만 떼 내 별도 회사를 만드는 이른바 빅딜은 지금까지 관련업계에서 예상했던 구조조정 방안들이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이런 예상을 깼습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정부 주도로 합병을 강제하거나 통폐합하는 건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며 구조조정은 채권단이 중심이 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국내 조선 3사는 지난해 사상 최대인 7조 원의 적자를 냈지만 직원 평균 연봉은 7천만 원이 넘는 상황.

정부는 인원 감축을 포함해 고임금 체계를 바꾸지 않으면 구조조정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강력한 자구 계획을 요구했습니다.

[임종룡/금융위원장 : 정부와 채권단은 사즉생의 각오로 기업 구조조정에 총력을 기울여 나갈 것입니다.]

조선업체들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3천여 명 감원을 앞둔 현대중공업은 휴일근무와 연장근로를 폐지하기로 했습니다.

대우조선해양 역시 2019년까지 2천300여 명을 감원한다는 구조조정 계획을 잡았고, 1천5백여 명의 인력을 줄인 삼성중공업도 추가 감원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김학균/미래에셋대우 수석연구위원 : 대주주나 채권단 이런 이해 당사자들이 손실 분담하는 과정에서 인력감축이 논의가 되어야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정부는 뼈를 깎는 자구책을 전제로 조선업을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해 실직자들에게 실업급여를 더 주는 방법 등으로 부작용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구조조정에 필요한 재원 일부를 국책은행을 통해 정부 재정으로 충당하기로 해 결국 국민 세금 투입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영상취재 : 박승원, 영상편집 : 김종우, VJ : 정민구)  

▶ "내달까지 용선료 못 깎으면 법정관리" 경고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