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김종인 체제' 언제까지?…'연립정부론' 솔솔

<앵커>

김종인 대표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언제까지 유지할 것인지를 놓고, 더불어민주당 내부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국민의당에선 내년 대선을 겨냥한 이른바 '연립정부론'이 조금씩 나오고 있습니다.

한정원 기자입니다.

<기자>

총선 이후 광주를 처음 찾은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대표는 "호남 민심이 돌아오지 않는 한 당은 비상상황"이라고 규정했습니다.

[김종인/더불어민주당 대표 : 뼛속 깊이 새겨야 할 교훈은 당권이라는 계파의 욕심이 아니라 집권이라는 국민의 염원입니다.]

차기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를 연기해 김 대표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당분간 유지하자는 '전대 연기론'과도 맥락이 닿아 있는 발언으로 풀이됐습니다.

하지만 문재인 전 대표 진영은 당의 비상상황은 끝났다며 조만간 전대를 열어 새 대표를 뽑아야 한다는 분위기여서, 논란은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의당에선 박지원 의원을 비롯한 상당수 호남 의원들이 '연립정부론'에 불을 지폈습니다.

야당 대선후보가 호남의 지지 없이 독자적 승리를 기대할 수 없는 만큼, 연정을 통해서라도 집권을 해서, 국민의당 호남세력의 정치적 가치를 극대화하겠다는 계산으로 보입니다.

반면 안철수 대표의 측근인 이태규 당선인은 오히려 새누리당과의 연정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김대중-김종필, 노무현-정몽준 연합이란 전례도 있었다는 겁니다.

이런 연정론의 배경엔, 안철수-문재인 연대는 복원이 어렵고, 새누리당엔 돋보이는 대선 주자가 없다는 점도 고려된 걸로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