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조선업 대량해고 전망…'특별고용업종' 검토

<앵커>

강도 높은 구조조정으로 대규모 실직이 우려되는 조선업에 대해 정부가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량해고 충격을 덜어주는 조치인데, 전제조건으로 노사의 자구노력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호건 기자입니다.

<기자>

현대중공업 등 국내 9개 조선사의 인력은 모두 19만 5천여명. 구조조정이 시행되면 1만 명 이상의 정리해고가 불가피합니다.

정부의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정 검토는 대량 실직 사태와 지역경제 붕괴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겁니다.

지원업종으로 지정되면 근로자를 해고하는 대신 유급휴직 처리할 경우 기업에 '고용유지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또 실직한 근로자에겐 재취업 훈련을 시켜주고, 실업급여 외에도 하루 4만 3천원의 특별연장급여가 최대 60일까지 추가로 지급됩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 :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업종같은 경우는 특정 기업 노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정부가 지원을 해줘서 필요한 인력들은 지켜주고…]

함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해운업의 구조조정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현대상선과 함께 경영난을 겪어온 한진해운은 독자적인 자구노력만으론 회생이 어렵다고 보고, 채권단에 자율협약을 신청했습니다.

신청이 받아들여질 경우 채권단은 당분간 이자와 원금상환을 늦춰주게 됩니다.

[유일호/경제부총리 : '채권단 중심으로 정리한다. 그리고 그것이 원활치 못하게 될 때는 정부가 개입할 수 있다' 이런 게 대원칙이고요. 그것에 따라서 할 겁니다.] 

정부는 구조조정 과정에서 정책적 지원을 받으려면 해당 기업들이 먼저 자산매각과 고임금 개선 등 자구 노력을 선행해야 한다고 압박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