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고객에 비싼 요금제 팔아라"…도 넘은 SKT 갑질

<앵커>

사회 전반에 갑질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통신사 판매점에 대한 SK텔레콤의 갑질이 도마에 올랐습니다. 판매점들에겐 통신사가 주는 수수료와 인센티브가 수익의 거의 전부인데요, SK텔레콤이 판매점들에게 비싼 요금제를 팔도록 강권하고, 이를 따르지 않으면 이 인센티브를 깎거나 주지 않았다는 겁니다.

정호선 기자의 기동취재입니다.

<기자>

이동통신 판매점을 운영하는 김 모 씨는 최근 SK텔레콤이 새 고가요금제를 출시하자 근심이 산더미입니다.

[이동통신 판매점주A : 이건 합당하지 않은 요금제를 만든 것 같아요. 그런데 이것에 대해서 강압적으로 할 수 밖에 없게끔 만들어 버리니까…. 이제 신상품 나오는 게 두려워요.]

어떤 요금제를 파느냐에 따라 판매점이 받는 돈이 다른데, 일부 저가요금제는 수수료가 아예 없습니다.

결국 판매점이 살려면 소비자에게 고가요금제를 떠안겨야 합니다.

[이동통신 판매점주 A : 약자일 수밖에 없어요. 저희가 맨 마지막에 돈을 받는 곳이잖아요. 부가서비스마저 안하면 마이너스가 되는 거잖아요. 그러면 저희가 (오히려 돈을) 내야 돼요.]

다른 판매점주도 고민은 마찬가지입니다.

[이동통신 판매점주 B : 가장 큰 피해는 소비자라고 저는 생각을 하거든요. 고객이 요금이 덜 나오기 때문에 판매하고 싶지만, SK에서는 판매 못 하게끔 차감 정책을 내니까…. 아주 힘들죠. 죄짓는 거 같죠.]

'차감' 정책이란 목표달성을 못 하면 약정된 리베이트에서 일정 금액을 깎는 걸 말합니다.

인터넷과 IPTV 등도 끼워팔아야 합니다.

[이동통신 판매점주 B : SK에서 계속 강요를 하고 있죠. 계란으로 바위치기라고 해야 될까요. 어떻게 보면 갑질의 끝판왕이라고 볼 수 있죠.]

판매점 사장들의 내부통신망엔 SK텔레콤에 대한 비판과 하소연이 넘쳐납니다.

"해도 해도 너무하다" "책임은 다 매장에 전가한다" "고객에게 미안해서 고개를 못 들 지경"이라고 토로합니다.

통신사의 이런 강권 행위는 모두 불법입니다.

[이주홍/녹색소비자연대 국장 : 갑과 을의 관계에 있을 때, 밀어내기라든가 할당량을 과도하게 전가하는 부분은 법 위반이 분명한 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SK텔레콤은 2013년에도 경쟁사 제품을 더 판매한 판매점들에게 불이익을 주다 공정위에 적발된 적 있습니다.

(영상취재 : 설치환, 영상편집 : 신호식, VJ : 정민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