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수중 로봇, 바닷속 '찰칵'…해저 탐사 새로운 길

<앵커>

수중 로봇을 이용해 바닷속이 어떻게 생겼는지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해저 지형도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자원 개발을 비롯한 해저 탐사에 새로운 길이 열렸습니다.

TBC 박 석 기자입니다.

<기자>

포항 앞바다에서 수중 로봇이 바닷속 탐사에 들어갑니다.

수중 로봇은 일정한 간격의 지점을 따라 움직이면서 수백 장의 사진을 촬영합니다.

이 사진들을 분석해 입체 수중 지형도를 만든 뒤 3D 프린터로 축소된 수중 지형 모형을 제작합니다.

드론이 항공 사진을 찍는 것과 같은 원리지만, 바닷속에서는 산소 부족과 거친 해류, 수압을 견뎌내야 하기 때문에 육상보다 훨씬 어렵습니다.

[조현우/포스텍 창의 IT 융합공학과 연구교수 : 기존의 모니터를 눈으로 보면서 지형을 분석하는 것과 달리 눈앞에 (입체) 지형을 두고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직관적으로 현상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고요.]

지금까지 바다 속 탐사는 평면 자료에 그쳐 입체적인 지형을 파악할 수 없었는데 이번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입체 해저 지형도를 만들었습니다.

이번 연구로 해저지형을 정밀하게 입체로 표현할 수 있게 됐기 때문에 해저탐사에 새로운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해저 지형 조사는 물론 수산자원에 손실을 입히는 백화현상이나 지각변동의 예측과 해저터널과 같은 인프라 건설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