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졸 무직자 2배 '껑충'…'좋은 일자리 될 때까지'

<앵커>

대학의 졸업 시즌도 이제 마무리됐는데요, 학사모를 쓰고도 취업을 안 하거나 못한 인구가 15년 전보다 2배 이상으로 늘어났다고 합니다.

이호건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노량진 학원가입니다.

가고 싶은 직장을 얻기 위해 길게는 3, 4년까지도 취업 준비에 매달립니다.

다니던 직장이 눈높이에 맞지 않아 그만두고 이곳을 찾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류 모 씨/취업준비생 : 공무원이 거의 0순위, 1순위인 것 같고요. 대기업이나 이제 중견기업도 요즘에는 잘 안가려고 하는 추세인 것 같아요.]

이런 취업준비생들과, 취업이 너무 힘들어 아예 구직을 포기한 사람들이 비경제활동인구로 잡히다 보니, 이른바 학사 무직자가 15년 새 2배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2, 3년의 추세를 봐도 비경제활동인구가 고졸 이하에선 줄었지만, 대졸 이상은 늘어나 5명 중 한 명이 학사 무직자였습니다.

대기업이나 공무원 같은 이른바 좋은 일자리는 전체 일자리의 10분의 1, 이런 일자리를 위해 될 때까지 해보는 취업준비생이 늘면서 학사 무직자가 많아지는 겁니다.

[박 모 씨/취업준비생 : 중소기업은 아직까지도 좀 많이 부족한 것 같아요. (취업준비생들) 인식이.]

[이준협/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 : 가장 큰 이유는 좋은 일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이고요. 따라서 기업이 더 좋은 일자리를 더 많이 만드는 것이 핵심이고요.]

상황이 이러다 보니 중소기업 인력 부족률은 대기업의 세 배에 달해 기업경쟁력까지 약화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