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하이패스 없어도 통행료 한 번에 낸다

<앵커>

현재 하이패스가 없는 차는 고속도로를 바꿔 탈 때마다 요금소에 통행료를 내야 합니다. 그런데 올해 말부터는
중간정산 없이 마지막에 한 번만 요금을 내면 됩니다.

한세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서울에서 광주광역시까지 고속도로를 이용해 내려갈 경우, 하이패스가 없는 차량은 통행권을 뽑은 이후 요금을 내기 위해 차를 3번 더 세워야 합니다.

하지만 오는 11월부터는 마지막 요금소에서 통행료를 한 번만 내면 됩니다.

국토교통부가 일반 고속도로와 민자고속도로가 만나는 중간 정산 요금소 20곳을 없애는 대신, 차량 번호를 영상으로 인식하는 '원톨링 시스템'을 도입하기 때문입니다.

'원톨링 시스템'은 '한 번'과 '요금을 낸다'는 뜻의 영어 합성어로, 고속도로 통행료를 마지막 요금소에서 한 번만 내는 제도입니다.

중간에 지나온 민자 고속도로 요금은 차량 이동 경로를 파악해 사업자끼리 나눠 갖습니다.

[이우제/국토교통부 광역도시도로과장 : 중간에 정차하는 불편함이라든지요, 그것에 따른 (차량) 정체 이런 게 자연스럽게 해소돼서 국민편의가 증대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국토부는 오는 2020년까지 모든 고속도로의 요금소를 없애는 '스마트 톨링 시스템'도 도입할 계획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