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전환점 맞은 한일…한국이 얻게되는 이점은?

<앵커>

이번 합의로 한일 관계는 큰 전환점을 맞게 됐습니다. 한일 관계에 물꼬가 트이면서 국제적 경제적으로 우리가
얻게 될 이점도 있습니다.

달라지는 양국 관계 허윤석 기자가 살펴보겠습니다.

<기자>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역대 대통령들의 8·15 경축사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였습니다.

[박근혜/대통령(2015년 8·15 경축사) : 올바른 역사인식을 토대로 새로운 미래로 함께 나가야 할 때입니다.]

[이명박/前 대통령 (2011년 8·15 경축사) : 일본은 미래 세대에게 올바른 역사를 가르칠 책임이 있습니다.]

반드시 풀어야 할 문제인 동시에 반세기를 끌어온 난제였습니다.

지리상 가장 가까운 양국 국민이 서로를 가장 멀게 느끼는 이유이기도 했습니다.

한일 수교 50년, 쉽지 않을 거라는 예상을 깨고 전격적으로 합의에 이른 건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 속에 한일 양국이 더는 과거에 머물 수 없다는 절박감 때문입니다.

우리 측이 법적 책임을 인정하라는 요구 대신 '창조적 대안'이란 용어로 유연성을 발휘한 것도 이 때문입니다.

[이원덕/국민대학교 일본학 연구소장 : (한일관계 개선에) 이번 합의가 급물살을 타는 하나의 모멘텀,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되고요.]

우리로선 일본과의 관계를 정상화시켜 거대 중국과 미·일 동맹의 중간에서 동북아 질서의 균형추 역할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투자와 교역, 한류 활성화, 관광객 증가 같은 경제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예상됩니다.

일본은 이번 합의를 계기로 전범 국가라는 오명을 씻고 국제무대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 중국과의 위안부 협상에도 돌파구를 찾는 기회로 작용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북핵 문제를 포함한 안보 분야에서 양측의 공동 이익을 추구하는 데도 도움이 될 걸로 보입니다.

다만 일본의 성실한 후속조치가 뒤따르고 일본 정치 지도자들이 우리 국민 감정에 반하는 언행을 삼가야 한다는 게 이번 합의의 가치를 이어가는 대전제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