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절박함으로 합의한 한·일…'더 나은 미래로'

<앵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합의로 한일 양국이 과거에 얽매이지 않고, 미래로 향하는 물꼬를 튼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그러나 그렇게만 보기에는 앞으로 넘어야 할 산, 그리고 해결해야 할 과제가 너무 많습니다.

허윤석 기자가 짚어보겠습니다.

<기자>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역대 대통령들의 8·15 경축사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였습니다.

[박근혜 대통령/2015년 8·15 경축사 : 올바른 역사인식을 토대로 새로운 미래로 함께 나가야 할 때입니다.]

[이명박/前 대통령(2011년 8·15 경축사) : 일본은 미래세대에게 올바른 역사를 가르칠 책임이 있습니다.]

반드시 풀어야 할 문제인 동시에, 반세기를 끌어온 난제였습니다.

지리상 가장 가까운 양국 국민이 서로를 가장 멀게 느끼는 이유이기도 했습니다.

한·일 수교 50년, 쉽지 않을 거라는 예상을 깨고 전격적으로 합의에 이른 건 급변하는 동북아 정세 속에 한·일 양국이 더는 과거에 머물 수 없다는 절박감 때문입니다.

우리 측이 법적 책임을 인정하라는 요구 대신 '창조적 대안'이란 용어로 유연성을 발휘한 것도 이 때문입니다.

[이원덕/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장 : (한일관계 개선에) 이번 합의가 급물살을 타는 하나의 모멘텀,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되고요.]

우리로선 일본과의 관계를 정상화시켜 거대 중국과 미·일 동맹의 중간에서 동북아 질서의 균형추 역할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투자와 교역, 한류 활성화, 관광객 증가 같은 경제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가 예상됩니다.

일본은 이번 합의를 계기로 전범 국가라는 오명을 씻고 국제 무대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 중국과의 위안부 협상에도 돌파구를 찾는 기회로 작용하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북핵 문제를 포함한 안보분야에서 양측의 공동 이익을 추구하는데도 도움이 될 걸로 보입니다.

다만 일본의 성실한 후속 조치가 뒤따르고 일본 정치 지도자들이 우리 국민 감정에 반하는 언행을 삼가야 한다는 게 이번 합의의 가치를 이어가는 대전제입니다. 

(영상취재 : 김찬모, 영상편집 : 박선수) 

▶ 직접 전화 건 아베 "사죄·반성의 마음 표명"
▶ '日 정부 책임' 첫 공식 인정…진전된 표현
▶ 日 97억 원 규모 예산 지원…"배상은 아냐"
▶ '사사에 안'보다 진일보…이번 합의와 차이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