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안전띠 안 매면 위험 18배…'경고등' 켜진다

<앵커>

버스에서 안전띠를 매지 않고 있다가 사고가 나면 다칠 확률이 18배나 높아 진다고 합니다. 그래서 정부가 수도권 광역버스와 전세버스에서 안전띠를 매지 않을 경우에 경고음을 울리는 장치를 시범적으로 달아 보기로 했습니다.

권애리 기자입니다.

<기자>

출근길 광역버스에서 안전띠 맨 승객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김혜리/시민 : 버스다 보니까 다른 사람들도 안 매서 그런 것도 있는 것 같고….]

하지만 버스 추락사고 상황을 실험으로 재연해본 결과, 안전띠를 매지 않을 때 부상 가능성은 18배, 머리를 다칠 가능성은 무려 40배나 커집니다.

몸이 좌석을 벗어나 차체에 부딪히면서 크게 다쳐, 중상을 입거나 사망할 확률이 높아지는 겁니다.

실제, 지난 2012년에는 한 수학여행 버스가 절벽에서 추락했는데도 승객 전원이 안전띠를 맨 덕분에 1명도 숨지지 않았습니다.

교통안전공단은 버스 안전띠 착용률을 높이기 위해 전세버스와 광역버스 1대씩에 시범적으로 안전띠 착용 경고장치를 도입했습니다.

승객이 좌석에 앉으면 안전띠를 맬 때까지 앞자리에 부착된 빨간 경고등이 계속 깜빡거리고, 기사도 승객들의 안전띠 착용 여부를 실시간 확인해 착용을 지도할 수 있습니다.

[강인석/전세버스 기사 : 그 좌석만 밝게 비치니까 벨트 매라고 주변분들이 더 말씀 많이 해주시는 편입니다.]

경고장치를 도입한 뒤 석달 동안 안전띠 착용률을 집계해 봤더니, 승객들이 전체 탑승시간의 70% 이상 안전띠를 매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전세버스 등에 이 장치 도입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영상취재 : 홍종수, 영상편집 : 박춘배, VJ : 정민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