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깡통 아파트' 사태 우려…공급량 조절 시사

<앵커>

이달에만 아파트 8만 천여 가구가 분양 된데 이어, 다음 달에도 3만 6천여 가구가 분양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분양 물량이 크게 늘면, 2~3년 뒤 입주 물량이 넘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면 가격은 떨어질 수밖에 없고, 대출에 전세까지 끼고 아파트를 산 경우에 자칫하면 팔아도 남는 게 없는 깡통 아파트로 전락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사태를 막기 위해서 정부가 공급 조절에 나설 것이다 이런 관측이 나옵니다.

이어서 엄민재 기자입니다.

<기자>

강호인 신임 국토부 장관은 주택업계와의 간담회에서 공급 과잉이 앞으로 주택 시장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강호인/국토교통부 장관 : 앞으로 신규 주택 수요, 지역 여건 등을 감안해서 적정한 수준의 주택 공급이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올 들어 건설경기 부양에 나섰던 정부가 우회적이지만 공급량 조절을 시사하고 나선 겁니다.

실제로 올 한해 신규 분양 물량이 쏟아지면서 2017년 전국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32만여 가구로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입니다.

입주 물량이 가장 적었던 2012년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많은 겁니다.

[김규정/NH투자증권 부동산 전문위원 : 입주물량이 한꺼번에 늘어나면서 입주 지연이나 빈집 사태 혹은 역전세난 같은 부작용이 지역별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분위기에 따라 부동산 전문가들 절반 이상은 2~3년 내 주택 가격 조정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침체와 가계부실을 막기 위해 정부가 인허가 물량을 조정하는 동시에, 업계 자율로 공급량을 줄이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충고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김선탁, VJ : 정민구) 

▶ 수도권 미분양 증가…부동산 '끝물' 경고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