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무분별한 범퍼 교체 막는다…'수리기준' 마련

<앵커> 

가벼운 교통사고로 차량 범퍼가 살짝만 긁혀도 아예 새것으로 교체하는 경우 많은데요. 앞으론 이런 일이 힘들어집니다.

송욱 기자입니다.

<기자>

범퍼가 긁혔다며 교체를 요구한 차량입니다. 고쳐서 쓸만한 수준인데도 피해 차량은 대부분 범퍼를 교체해 달라고 합니다. 자기 돈 들어가지 않고 가해 차량의 보험에서 비용을 부담하기 때문입니다.

[김기철/자동차 정비업체 이사 : 10분 중 6~7분은 복원이 가능하신데도 불구하고 교환을 요구하시고요, 외산차 같은 경우에 그 비율이 더 높습니다.]

이런 무분별한 범퍼 교체를 막기 위한 수리 기준이 마련됩니다. 범퍼의 투명막과 페인트칠만 훼손된 1, 2단계 손상은 수리해서 써야 합니다.

범퍼의 주 재료가 손상된 3단계는 파손 정도에 따라 교체를 검토하고, 꺾이거나 찢겨 복구가 힘든 4단계는 범퍼 교체가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사고 시 빌려주는 렌터카 기준도 바뀝니다. 현재는 '동종'의 차량이지만, 앞으론 배기량과 연식이 같은 최저가 차량으로 기준을 바꿔, 수리비보다 렌트비가 더 많이 나오는 걸 막기로 했습니다.

특히 수리비가 평균의 1.2배가 넘는 고급 차종의 '자차 보험료'를 최대 15%까지 인상하고, 예상 수리비를 미리 현금으로 받는 관행도 없애기로 했습니다.

[도규상/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국장 : 이번 대책을 통해서 2천억 원 정도의 비용절감 효과를 저희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변경된 자동차 보험료 체계는 내년 3월부터 시행됩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