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길 찾기 어려워"…도로명주소 도입 취지 무색

<앵커> 

지난해 정부가 도로명 주소를 도입하면서 내세운 최대 장점은 "낯선 곳도 쉽게 찾을 수 있다" 였습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같은 이름을 사용하는 구간이 너무 넓어 그 취지가 무색한 상황입니다. 

류란 기자가 현장 점검했습니다.

<기자>

도로명 주소를 이용해 송파구의 한 상점을 찾아가보기로 했습니다. 

이동 방향과 도착점까지 거리 정보를 알려줄 기준점을 찾는 일부터 난항입니다. 양 방향 도로와 교차로까지, 가로 세로 방향 200미터 구간에 나타난 11개 도로의 이름이 모두 같기 때문입니다.

어딜 가나 같은 이름이다 보니 현재 위치와 가까운 진입로를 찾는 것이 어려워 이 지역 주민 대부분은 예전 지번 주소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익수/치킨가게 운영 : 골목마다 그러니까, 어디 찾아갈 몇 번 몇 번 골목이 있어야 되는데 그렇지가 않아서 찾기가 어려워요.]

정부는 도로명 주소의 원리만 알면 낯선 길도 금세 찾아갈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실제론 근처 도로 여러 구간을 한 묶음으로 처리해 같은 이름을 붙여놓은 경우가 전국적으로 4만 Km에 이를 정도로 많습니다.

[행정자치부 담당 직원 : (도로명) 부여를 다 하게 되면 도로명 숫자가 너무나 많은 거예요. 도로 사정에 따라서 그걸 종속 구간으로 처리할지 새로운 이름을 부여할지 (결정)해야 하거든요.]

골목길이 많은 주택가는 물론, 농어촌 지역에선 아예 마을 전체가 하나의 도로명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위치 찾기가 좀 더 쉬워지려면 묶음으로 처리된 도로 구간을 합리적으로 줄여나가는 노력이 필요해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