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승선인원 대체 몇명?…'세월호' 겪고도 관리 허술

<앵커>

돌고래호 승선자 명부에는 선장을 포함해서 22명이 적혀있습니다. 이 가운데 4명은 배에 타지 않았고, 이 명부에 없는 사람이 승선하기도 했습니다. 승선자 신고와 관리체계에 구멍이 뚫린 겁니다. 세월호 참사를 겪었지만, 낚싯배의 경우에 아직도 같은 문제가 되풀이 되고 있습니다.

정구희 기자입니다.

<기자>

해경이 파악한 승선자 인원은 오전과 오후 브리핑마다 달랐습니다.

[이평현/제주해양경비안전장, 오늘 오전) : 20여 명 중에서 14명이 파악이 되고…]

[이평현/제주해양경비안전장, 오늘 오후) : 현재 21명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해경은 승선인원을 현재 잠정적으로 21명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실종자를 8명으로 보고 있지만, 실제 더 늘어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돌고래호가 출항하고 중간에 몇 명을 태웠는지 파악이 안 된다는 것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지만 확인이 안 되다 보니, 구조작업에 큰 혼선을 빚고 있습니다.

최근 추자도에 들어간 낚시꾼 모두에게 연락 해야 정확한 승선자 확인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해경은 그러나 출항 신고가 제대로 되지 않은 건 자신들도 어쩔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현행법에는 돌고래호가 출항한 소규모 항구에서는 해경이 아닌 민간인이 신고장 접수를 대행하는 경우가 많다는 겁니다.

[공길영/한국해양대학교 교수 : 어촌계장이 신고만 하고 나가다 보니 승선인원도 잘못돼 있고 관리 사각지대에 있는거죠.]

그러나 해경이 업무를 위탁했다고 해서, 업무의 관리와 감독을 소홀히 한 책임까지 민간인에게 떠넘기는 것은 지나치게 안이하다는 지적입니다.

수차례 지적됐던 민간 대행 신고제도의 허술함이 이번에는 보완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영상편집 : 김호진)  

▶ "'쾅' 하며 순식간에 뒤집혔다"…목숨 건 사투
▶ 구명조끼 안 입었다가…안전불감증이 부른 참사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