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협상 쟁점은? "도발 사과" vs "대북 방송 중단"

<앵커>

협상과정에서 북한은 대북방송 중단을 강하게 요구하면서, 반면 지뢰 도발과 포격 도발은 사실 자체를 부인하고 있습니다. 최소한 도발에 대한 분명한 사과라도 받겠다는게 우리 정부의 뜻인데, 의견 차이가 커도 너무 큽니다.

정영태 기자입니다.

<기자>

우리 군 부사관 2명에게 중상을 입힌 비무장지대 지뢰 도발과 서부전선 포격 도발로 남북 사이의 긴장이 최고조로 치달았다는 게 우리 정부의 판단입니다.

도발 사실을 인정한 뒤 사과하고, 책임자를 문책하면서 재발방지를 북측이 약속해야 한다고 정부는 촉구했습니다.

[한민구/국방부 장관 (그제) : 북한의 공격 행위는 정전 협정과 남북 불가침 합의를 정면으로 위반한 중대한 도발이며, 그 호전성을 드러낸 비열한 범죄 행위입니다.]

반면에 북측은 지뢰 도발은 물론 포격 도발도 남측이 조작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대북 방송용 확성기 철거를 비롯해 대북 심리전 중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김영철/북한 정찰총국장 (그제) : (남측의) 확성기 방송이나 삐라 살포는 우리측 지역에 대한 노골적인 심리전입니다. 놈들의 무모한 도발은 기필코 값비싼 징벌을 받게 될 것입니다.]

정부는 북측의 도발로 대북 방송이 재개된 만큼 북측이 성의를 보이는 게 우선이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지난 2002년 연평해전 때처럼 북측이 두루뭉술한 내용의 유감을 표명할 가능성도 있지만, 정부는 재발 방지를 위해서라도 사과와 책임인정의 주체가 북한이 돼야 한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박선수)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