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中 "日 미쓰비시 배상안 수용"…배제된 한국

<앵커>

중국의 일제 시대 강제노동 피해자들이 미쓰비시의 배상 안을 받아들이기로 했습니다. 이런 과정에는 일본과 중국의 외교적 전략이 숨어있는데 우리 외교부는 원론적인 반응만 내놓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최선호 특파원입니다.

<기자>

중국인 강제노동 피해자들이, 지난달 미쓰비시의 사과와 배상 안을 받아들이기로 했습니다.

한 사람에 200만 엔, 우리 돈 2천만 원 정도입니다.

일부 반발도 있지만, 다음 달 시진핑 주석의 방미를 앞두고 중·일 갈등 속도 조절에 들어간 중국 정부의 의중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 언론들은 중·일 관계 개선의 기대감을 담아 관련 소식을 전하면서, 일본 정부가 금전적 배상 안을 용인한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수교 당시, 청구권을 방기한다는 발표를 두고, 그동안 일본은 청구권 소멸로 중국은 개인청구권은 별개라며 맞서왔습니다.

양국 정부는 이번 미쓰비시 배상 안을 통해, 청구권 관련 결론은 미룬 채, 갈등을 봉합하려는 겁니다.

결과적으로 강제징용 개별보상에서 한국만 배제된 꼴입니다.

재작년 신일철주금이 한국 피해자들에게도 금전적 배상을 검토했지만, 당시 일본 정부는 청구권 소송이 확산할 수 있다며 무산시켰습니다.

식민지 조선의 징용과 강제노동은 다르다는 궤변을 내세워, 한국 피해자 소송 11건은 계속 외면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한중 분리 전략과 중국의 실용주의 외교가 맞아떨어진 셈인데, 우리 외교부는,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반응만 내놨습니다.

(영상취재 : 박용준, 영상편집 : 김호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