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책임자도 성폭행 연루"…교사 성범죄 급증

<앵커>

성추행이나 성희롱으로 징계 처분을 받은 초·중·고등학교 교사가 올 상반기에만 35명이 됩니다. 닷새에 한 번꼴로 교사들에 의한 성범죄가 발생한 셈입니다. 징계를 받은 교사는 지난 2011년 이후 해마다 40명이 넘는데, 올 상반기에는 그 수가 크게 늘어 지난해 전체와 비슷해졌습니다. 징계까지 이어진 게 이 정도니까 실상은 훨씬 심각할 것이라는 게 교육계 안팎의 중론입니다.

어쩌다 이렇게 된 건지 뉴스인 뉴스에서 김광현 기자가 짚어봅니다.

<기자>

교사 5명이 성추행과 성희롱 의혹에 휩싸인 서울의 한 고등학교입니다.

동료 교사들은 그동안 관련 내용을 알고도 신고하기 어려웠다고 털어놓습니다.

[피해 여교사 동료 : 문제는 그 (성 고충 처리) 위원회를 꾸리는 실제 부서의 책임자가 이번에 성폭행 건에 연루된 사람 이어서…]  

성범죄가 발생하면 우선 교내 전담 기구에서 조사한 뒤 학교폭력위원회에 넘기고 교육청에도 보고하게 돼 있습니다.

하지만, 전담 조사기구 책임자가 성추행에 연루돼 신고조차 제대로 하지 못한 겁니다.

성범죄 대응 매뉴얼이 작동되더라도 관리 감독 책임자인 교장이나 교감이 사건을 은폐하거나 축소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교단 특유의 가부장적인 분위기와 보수적인 문화는 교사들의 성범죄가 끊이질 않는 배경으로 꼽힙니다.

[피해 여교사 동료 : 학생들이 약자잖아요. (가해 교사들이) 권력, 지위 이런 것들을 이용해 희롱한 거죠.]  

지난 5년간 성범죄로 징계받은 교원 231명 중 절반이 넘는 123명이 다시 교단에 복귀했습니다.

교사에 대한 성폭력 예방 교육이 1년에 1시간에 불과한 것도 문제입니다.

[강혜승/서울교육단체협의회 상임대표 : 성 평등교육과 인권교육은 더 많이 집어넣어서 그런 것들이 우리 아이들한테 녹여 들어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게.]  

전문가들은 성범죄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과 예방 교육을 개선하고, 성범죄 발생 시 초기부터 외부 전문가를 참여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영상편집 : 김종우, VJ : 김형진) 

▶ 서울시의회 "성추행 교사, 교단 못 서게 해야"
▶ 닷새마다 한 번 꼴로 교사들 성범죄…급증 이유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