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야 "전문가가 원본 확인해야"…삭제방법 '의문'

<앵커>

하지만 야당은 국정원의 이 보고를 선뜻 믿지 못하겠다, 이런 입장입니다. 전문가들이 원본 로그파일을 들여다봐야만, 의혹을 풀 수 있단 겁니다. 국정원 해명에도 불구하고, 아직 풀리지 않는 의문점도 적지 않습니다.

진송민 기자입니다.

<기자>

해킹팀 내부 기록 분석 결과, 국가정보원이 국내 통신사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해킹한 것으로 드러나 있는 건, 지난달 3일, 4일, 17일 세 차례입니다.

자체 실험용이라는 게 국정원 해명이지만, 야당은 원본 로그파일을 봐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해킹을 통해 구체적으로 뭘 감시했는지 모든 내역을 담은 로그파일을 민간 전문가들이 들여다봐야 '실험용'이란 해명을 믿을 수 있다는 겁니다.

[안철수/새정치민주연합 국민정보지키기 위원장 : 로그파일 분석 등을 위해 최소한 5명 이상의 전문가들이 지난주에 여야가 합의한 방법을 통해서 반드시 조사에 참여해야 합니다.]

이에 대해 국정원은 자체 전문가와 민간 전문가의 간담회는 가능하지만, 민간 전문가의 로그파일 직접 접근은 보안상 허용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야당은 국정원이 이미 인정한 해킹 프로그램 라이선스 20개 이외에 추가 구입 의혹도 제기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2년 총선 한 달 전과 대선 11일 전에, 해킹팀과 나나테크 간에 추가 구매 의사를 주고받은 이메일을 근거로 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정원은 추가 구매 사실이 전혀 없다며 의혹을 일축하고 있습니다.

컴퓨터 전문가인 국정원 직원 임 모 씨가 복구가 불가능하도록 자기장으로 파괴하는 '디가우징' 방식 대신, 복구가 가능한 단순 삭제 방식을 택했다는 점도 이해하기 어려운 의혹 중 하나입니다.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에서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소프트웨어인 해킹 프로그램은 일종의 무형물로 '감청설비'로 보긴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이런 가운데 검찰은 야당이 고발한 국정원 해킹 의혹사건을 서울중앙지검 공안 2부에 배당하고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영상취재 : 박대영, 영상편집 : 김진원) 

▶ 국정원 "삭제자료 51건…내국인 불법사찰 없다"
▶ 국정원, SKT회선 해킹의혹에 "자체 실험용…문제없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