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고위험 접촉자, 뒤늦게 시설 격리"…실효성 의문

<앵커>

메르스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사람들 가운데는 나이가 많거나, 당뇨병이나 심장병처럼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분들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젊고 건강한 사람보다는 감염에 취약할 수밖에 없겠죠.

이런 고위험 대상자가 35% 정도 됩니다. 정부가 이들을 자택이 아니라 별도의 시설에 격리하기로 했습니다. 확산을 막는 데 효과가 있을까요?

뉴스인뉴스, 이종훈 기자입니다.

<기자>

보건 당국은 메르스 발병 초기만 해도 첫 환자 가까이에서 접촉한 사람만 격리 대상으로 분류했습니다.

자택 격리에 대한 관리도 허술했습니다.

[권준욱/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 : 초기의 판단과 관련해서 동일 병실에 조금 집착했던 우리 일선 실무자들의 약간 기존 지침에 너무 고집된 것이 아쉬운 부분으로 있고….]

보건 당국은 자택 격리자 중에서 고 위험군으로 분류한 사람을 안전한 시설에 격리시켜 잠복기 동안 관찰하기로 했습니다.

당뇨병과 심장병, 신장병 등 만성질환이 있는 50세 이상이 대상입니다.

전체 밀접 접촉자의 35% 정도입니다.

격리 병실의 경우 외국에선 숙련된 의료진과 특수 장비를 갖추도록 하고 있습니다.

미국 질병관리통제센터는 공기를 차단하는 음압시설을 보유하고, 얼굴을 완전히 차단하는 고글과 의료용 N95 마스크 등을 갖춰야 한다고 권하고 있습니다.

이런 장비를 갖춘 우리 국공립병원 병상은 100여 개 있지만 다인실에 한 사람만 입원하기 때문에 40개 정도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민간 대학병원들은 메르스 전파 위험 때문에 격리 환자 받는 걸 꺼리고 있습니다.

나이 50세를 시설 격리의 기준으로 삼는 것도 오늘(31일) 30대 젊은 남성 2명이 추가로 확진된 것을 감안하면 현재 상황과는 맞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흥식, 영상편집 : 김경연)

◀ [메르스 확산 '공포'] 관련뉴스 보기 ▶

[메르스 환자 발생 현황]

▶ 메르스 환자 2명 추가 발생…모두 15명으로 늘어

[메르스 확산, 정부 대책]

▶ 메르스환자 밀접접촉 고위험 대상자, 별도시설에 격리

▶ 문형표 "메르스 확산방지에 국가역량 집중…국민협조 필요"

▶ 메르스 환자 절반은 비격리자…초기대응 허술

[메르스 확산 비상]

▶ 오판·과신·고집…'3대 실책'이 메르스 확산 불렀다

▶ 메르스 이번주 중반 '고비'…첫 환자 격리후 잠복기 지나

[중국, 홍콩 메르스 대응]

▶ [월드리포트] "빵즈(한국인) 내쫓아라!"…메르스로 되살아난 '반한·혐한'

▶ 중국·홍콩, 메르스 확진자 접촉 가능성 65명 격리

▶ "확진자 안나오면 혼란 없을 것" 사스경험 홍콩인 긴장 속 차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