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집 없는 민달팽이 청년 130만…주거 빈곤율 36%

<앵커>

좀 슬픈 얘기지만 고시원이나 반지하 방처럼 열악한 환경에서 사는 청년들을 등에 지고 다니는 집이 없는 민달팽이족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청년들이 130만 명에 달하는데, 정말 실현성 있는 대책 마련 시급합니다.

하현종 기자입니다.

<기자>

대학생인 24살 김영 씨의 보금자리는 한 평 반 남짓한 고시원입니다.

누워서 발 뻗기가 어렵고 의자를 놓을 공간도 없습니다.

[김영/고시원 거주 대학생 : 이 정도 조건에서 25만 원, 가장 큰 부담이 보증금이기 때문에. 고시원 같은 경우는 보증금이 없다 보니까.]

1인 청년 가구 가운데 최저 기준 이하의 주택이나, 반지하, 옥탑, 고시원처럼 주택이 아닌 곳에 사는 비율, 즉 주거 빈곤율은 36%에 이릅니다.

심각한 청년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간에서는 다양한 시도들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이 '민달팽이집'은 협동조합이 운영하는 이른바 '사회주택'입니다.

조합원들의 출자금과 후원금으로 다가구 주택을 통째로 장기 임대해 청년들에게 방을 재임대하고 있습니다.

[김해랑/민달팽이집 입주자 : 볕도 잘 들고 따뜻하고, 이런 집을 살 수가 있을까 꿈꾸지 못했던 것 같아요.]
 
[권지웅/민달팽이 주택협동조합 이사장 : 큰 집을 빌리고 그것을 나누어 쓰게 되면 임대료를 내는 개인 입장에서의 평당 임대료는 많이 내려가요.]  

하지만 민간의 노력만으로 청년들의 주거문제를 완벽히 해결할 수는 없는 만큼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합니다.

우선 공공기숙사를 비롯해 청년들이 이용할 수 있는 공공 임대주택의 보급을 늘려야 합니다.

아울러 저소득층 가구에 국한된 공공주택 정책의 대상을 청년 1인 가구로까지 확대하는 정책적 인식 변화가 시급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