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어린이 중환자실 부족…시설·인력 없어 '발 동동'

<앵커>

어린이는 어른과는 다른 전용 치료시설과 의료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국내 대학병원 중 어린이 병원이 있는 곳은 7곳, 전용 중환자실을 갖춘 곳은 5곳에 불과합니다.

남주현 기자입니다.

<기자>

닷새 전, 태어난 지 열흘 된 아이가 심하게 울자 엄마는 지방의 한 대학병원으로 급히 달려갔습니다.

진단결과 선천성 심장병, 빠른 수술이 필요했지만, 지방에선 불가능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김수정/심장병 아기 어머니 : 말도 못하겠더라고요. 당황스럽고 속상하고. 병원을 제때 잡지 못할까 봐 굉장히 걱정했습니다.]

서울대 어린이 병원에서 수술을 받고 회복 중인데 운이 좋은 경우입니다.

국내 최대 규모의 서울대 어린이 병원도 중환자실은 병상이 20개뿐입니다.

[박준동/서울대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 집중적으로 치료하면 장애 없이 살아갈 수 있는 아이들을 충분한 시설과 인력이 없어서 그 환자들을 적절히 치료하지 못할 때가 제일 큰 안타까움을 느낍니다.]

소아 중환자실은 어린이에게 특화된 각종 고가의 장비를 갖춰야 하고, 숙련된 의료진이 상주해야 합니다.

그렇다 보니 소아 중환자실 운영 비용은 성인 중환자실의 5.7배나 됩니다.

서울대 어린이병원 중환자실은 병상 하나마다 매년 1억5천만 원씩, 20개 병상에서 30억 원 적자가 납니다.

이 때문에 국내 대학병원 가운데 어린이 전용 중환자실을 갖춘 곳은 5곳뿐이고 규모도 그저 유지만 하는 수준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