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장균 나와도 '합격'…못 믿을 공인 식품검사

<앵커>

국가공인 식품 검사 기관들이 검사 결과를 조작해오다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 원래는 식품 회사가 검사 기관의 눈치를 보는 게 맞는데 현실은 정반대였습니다.

이유를 김종원 기자가 설명하겠습니다.

<기자> 

얼마 전 자사 식품에 대해 중금속 검사를 맡겼던 이 식품회사, 국가공인 검사기관이라 믿고 맡겼고, 검사 결과는 '적합', 팔아도 된다고 나왔습니다.

하지만 알고 보니 제품을 뜯어보지도 않고 내린 허위 결과였습니다.

[식재료 제조업체 관계자 : '(식품 검사를) 여기서 해라, 식약처에서 보증을 해주겠다' 해 가지고 의뢰를 한 거죠. 우리는 신용인데, 나라를 믿고 식약처를 믿고 갔다가 상황이 이렇게 돼 버린 거예요.]

식품의약품 안전처가 인증한 국가 공인 식품 검사 기관 74곳 가운데 10곳이 지난 3년간 8만 3천 건의 식품 검사 결과를 이렇게 조작해왔고, 이런 허위 검사를 받은 제품 2천4백 개가 실제 시중에 팔려나갔습니다.

[이홍락/서울서부지방검찰청 검사 : 안전성 검사가 필요한 2천4백여 개 식품을 재검사해, 기준을 위반한 28개 식품을 전량회수 조치하였습니다.]  

식품업체와 검사기관 사이 설정된 그릇된 '갑을' 관계가 문제였습니다.

식약처 인증을 받은 국가공인 검사업체라곤 하지만 대부분 영세한 민간업체, 이런 곳이 수십 군데씩 난립해 식품회사 유치 경쟁을 펼치다 보니, 엄정해야 할 검사기관이 오히려 식품회사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단 겁니다.

문제 있는 식품을 보고도 '부적합' 판정을 내리지 못하는 검사기관, 이들에 대한 관리 감독을 소홀히 한 식약처, 우리 식품안전에 구멍이 뚫렸단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