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노후 불안에…돈 벌어도 지갑 닫는 50·60대

<앵커>

2000년대 초에 50~60대는 소득에 비해서 씀씀이가 가장 큰 세대였습니다. 그런데 10년 새 이들의 소비가 빠르게 위축된 걸로 나타났습니다. 세금 같은 걸 빼고 실제 쓸 수 있는 소득 중에 소비에 사용한 비율이 전체 연령층에서 가장 많이 떨어진 겁니다. 

50대와 60대가 지갑을 열지 못하는 이유, 한주한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자영업을 하는 올해 64살의 유상철 씨.

과자 하나 살 때도 계산기를 두드려 가며 돈을 아끼려 노력합니다.

[유상철/64세 : (제품) 중량과 가격 다 따져봐요. 가급적이면 절약하는 것이죠.]

50~60대들이 갈수록 지갑을 닫고 있습니다. 

50대의 경우 지난 2006년 이후 소득이 43% 늘었지만 소비는 31% 증가에 그쳤습니다.

60대 이상도 소득은 31% 늘었지만 소비는 23% 증가에 머물렀습니다.

[변양규/한국경제연구원 거시경제연구실장 :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에 소득 증가에 비해 소비 지출을 줄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자녀 교육비와 집값 등을 감당하느라 노후를 대비해 준비해 둔 돈이 적다 보니 은퇴 이후를 생각해야 하는 50~60대가 되면 앞날이 불안해지는 겁니다.

[이명숙/51세 :대학생이 두 명 있어서 못하고 올해는 졸업을 했거든요. 그래서 앞으로는 저금을 많이 하려고요.]

평균 수명은 늘어만 가는데 자녀 결혼비용이나 자신의 의료비 등 목돈 들어갈 데가 많은 것도 걱정입니다.

[김금순/58세 : 제일 불안한 것은 노후죠. 노후 대비를 많이 해놓은 것이 아니니까.]  

불경기 때문에 자영업으로 성공하기도 힘들어지면서 직장에서 물러난 뒤 비정규직에 취업하는 경우도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60대는 1년 전보다 11.1% 증가했습니다.

우리나라의 노후빈곤율이 45%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는 통계가 50~60대들에게는 남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영상취재 : 박승원, 영상편집 : 최은진)  


▶ 벼랑 끝 베이비부머…700만 은퇴 쓰나미 온다
▶ "폐지 줍는 일조차…" 준비 안 된 노후 '막막'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