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청년 실업률 사상 최악…계약직-이직 '악순환'

<앵커>

청년 일자리 문제가 심각하다는 게 어제오늘의 얘기는 아닙니다만, 오늘(14일) 발표된 실업률 수치를 보면 그 심각성이 피부에 와 닿습니다. 청년실업률이 2000년 이후 최악이고, 청년 5명 가운데 1명은 첫 직장이 1년 이하의 계약직입니다.

김용태 기자입니다.

<기자>

청년들은 대부분 안정된 정규직을 원하지만, 취업 자체가 어려워 일자리의 질을 따지기가 힘든 게 현실입니다.

[선현민/취업준비 대학생 : 정규직을 꿈꾸죠. 그런데 그 문이 좁으니까 어쩔 수 없이 준비하다 안 되면 비정규직으로 눈을 돌리겠죠.]  

지난해 전체 실업률은 3.5%였지만 만 15세에서 29세 사이 청년 실업률은 9%까지 치솟았습니다.

현행 실업률 집계 방식이 도입된 지난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50대 취업자가 24만 명, 60세 이상 취업자가 20만 명 늘어난 반면 청년 취업자는 7만 7천 명 증가에 그쳤습니다.

5~60대 취업자 증가 폭의 3분의 1 수준입니다.

어렵게 취업을 해도 청년 일자리의 질은 기대에 훨씬 못 미칩니다.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청년 취업자 389만 명 가운데 76만 명은 첫 직장이 1년 이하 계약직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전체 청년 취업자의 19.5%, 취업한 청년 5명 가운데 1명이 1년 이하 계약직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한다는 겁니다.

계약직에다 언제 그만둘지 모르는 임시직까지 합하면 불안정한 청년 일자리 비율은 34.8%까지 올라갔습니다.

불안정한 일자리가 늘면서 청년층의 평균 근속기간은 계속 줄어들고 이직은 늘어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민철, 영상편집 : 김선탁, VJ : 유경하)  


▶ 취업 안돼 희망도 잃었다…'오포세대'의 한숨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