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합치고 팔고 해체하고…지자체, 적자 털어내기 몸부림

<앵커>

서울시가 20년 동안 둘로 나뉘었던 지하철 운영 기관을, 하나로 합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적자를 줄이기 위해선데요, 다른 지자체들도, 적자를 털어내기 위해 몸부림치고 있습니다.

김종원 기자입니다.

<기자>

같은 동대문역사박물관 역인데, 2호선은 서울메트로가, 5호선은 도시철도가 각각 관리합니다.

서울메트로의 1, 2, 3, 4호선과 도시철도의 5, 6, 7, 8호선이 이렇게 겹치는 역은 서른 곳 가까이 됩니다.

서울시는 이 두 지하철 공사를 2016년 말까지 하나로 합치기로 했습니다.

중복으로 들어가는 비용과 인력을 절약할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박원순/서울시장 : 이렇게 각자의 길을 달리다 보니까 살림살이도 참 팍팍합니다. 부채는 4조가 되고 무임 수송은 해마다 늘어나고 똑같은 장비를 따로 사다 보니까 불필요한 지출도 늘어납니다.]

광주광역시 역시 10년 전 지하철 1호선을 개통했지만, 수요 예측 실패로 적자가 3천억 원대까지 늘어났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2호선 개통 계획을 폐기할지를 두고 논란을 벌이고 있습니다.

지자체들의 적자 줄이기 노력은 꼭 지하철뿐이 아닙니다.

경상남도는 최근 축구단 경남FC가 한 해 150억 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지원받고도 2부 리그로 강등되자, 해체까지 검토 중입니다.

강원도 태백시도 1년 시 예산의 두 배인 4천300억 원을 들여 리조트를 지었지만, 수천억 원의 적자만 쌓이자 민간에 매각하겠다고 나섰습니다.

부채 부담이 한계에 이르자 지자체들이 사업을 합치고, 팔고, 해체하며 적자 줄이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