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또 '반값 아이폰'…단속 비웃는 불법 보조금

<앵커>

지난 1일 불법 보조금이 풀리면서, 거의 공짜폰이 된 아이폰6를 사려는 사람들로 소동이 벌어졌었죠. 당시 정부는 곧바로 이동통신 3사 책임자들을 불러서 강력히 경고하고 단속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불과 열흘 정도 만에, 단속을 비웃기라도 하듯 불법 보조금이 다시 등장했습니다. 아이폰6가 판매가의 반값도 안 되는 33만 원에 팔리고 있습니다.

이런 일이 반복되는 이유를 정영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최근 인터넷 사이트나 폐쇄형 소셜 네트워크에 올라온 휴대전화 가격표입니다.

출고가 78만 원짜리 아이폰6는 공시 보조금이 18만 원으로 정상가격은 60만 원입니다.

그러나 나중에 돈을 돌려주는 불법 보조금, 이른바 페이백이 24만 원이나 돼 반값에 가까운 30만 원대에 팔립니다.

[온라인 판매상 : (아이폰6) 대란 때 정책보다는 좀 안 좋아요. 그런데 현금가 33(만원)까지 나왔거든요. 기계는 지금 있고요. 바로 개통 가능하시고요.]

갤럭시 S5와 노트4 같은 단말기에도 최대 35만 원에 이르는 불법 보조금이 실려 있습니다.

단말기 이름과 불법 보조금은 필름, 고구마 같은 암호를 써서 정체를 숨겼습니다.

[판매점 관계자 : (통신사들이) 공시 보조금을 한번 올리게 되면 일주일간 공시 금액을 변경할 수 없는 조항 때문에 판매자들한테 주는 리베이트를 갖고 계속 그렇게 하는 거죠.]

정부의 처벌 경고에도 불구하고 이런 일이 생기는 건 재고 부담 때문입니다.

인기가 적었던 아이폰6 16기가짜리와, 내년에 후속 모델이 예정된 갤럭시 S5 재고를 떨어내려는 겁니다.

[판매점 관계자 : 통신사에서는 전혀 책임을 지지 않고 (재고를) 대리점으로 다 밀어내기를 했다고 봐야 되는 거죠. 대리점 채권으로 묶이게 되는 겁니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빚이죠.]

통신사들이 모든 소비자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공시 보조금은 그대로 두고, 암암리에 일부 판매상을 통해 불법 보조금을 뿌리는 구태를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이재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