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인권유린? 방역우선? 에볼라 '의무격리' 논쟁

<앵커>

에볼라 구호인력에 대해서 미국 일부 주 정부가 의무 격리조치를 취한 게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인권 유린이다, 아니다 방역이 먼저다,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섰습니다.

뉴욕에서 박진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기자>

미국 뉴저지주 정부로부터 의무격리 조치를 당했던 여성 간호사가 결국 음성으로 판명돼 나흘 만에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자신이 사실상 불법감금됐다며 법적 대응 의사를 밝혔습니다.

[노먼/간호사 케이시 측 변호사 : 케이시 히콕스 양은 이번 조치로 헌법상의 자유를 침해당했습니다.]

서아프리카에서 돌아오는 에볼라 구호인력과 여행객들을 에볼라 잠복 기간인 21일 동안 강제 격리한다는 일부 주 정부의 조치에 대해, 미국 연방 보건당국과 백악관은 지나치다며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반기문 유엔사무총장도 의료진의 사기를 꺾는 조치라며 반대 성명을 냈습니다.

[듀자릭/유엔 대변인 : 그들은 인류애를 위해 헌신한 분들입니다. 과학적 근거도 없이 통제 당해선 안됩니다.]

그러나 주 정부 차원의 격리 조치는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뉴욕 주는 그나마 강제 입원에서 자택 격리 쪽으로 물러섰지만, 메릴랜드와 버지니아주는 대중교통 이용을 금지하는 방안을 채택했고, 뉴저지 주도 강경한 입장입니다.

[크리스티/뉴저지주 주지사 : 뉴저지 시민의 공공보건을 위해서라면 어떤 조치도 마다하지 않을 것입니다.] 

현재 미국 내에서는 비인도적 처사라는 비난과 대재앙을 막기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 있습니다.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미국 중간선거와 맞물려, 정파 간 대립 양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만약 의료진을 통한 감염사례가 추가로 발생할 경우에는 강제 격리조치가 미국 전체로 확산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이도원, 영상편집 : 정용화)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