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86억 투자한 재난시스템, 세월호 참사서 '무용지물'

<앵커>

200명 가까운 시민이 목숨을 잃은 지난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당시의 모습입니다. 참사 뒤에 정부는 부처간의 유기적인 대처가 중요하다면서 무려 86억 원을 들여서 재난관리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이 시스템이 세월호 참사 때는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누구 한 명 제대로 활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지성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지난 2005년부터 3년에 걸쳐 구축한 재난정보 공동활용 시스템입니다.

대통령실, 국가정보원, 안전행정부 같은 중앙부처는 물론, 지방자치단체와 정부 산하기관까지 934개 기관의 2만 4천여 명이 담당자로 등록됐습니다.

86억 원의 예산이 투입됐습니다.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사고 때 범정부 차원의 유기적인 대처가 미흡했다는 지적에 따라 만들어졌습니다.

온라인으로 재난 상황을 전파하고 구조활동을 지원하도록 설계됐습니다.

하지만, 세월호 참사에선 있으나 마나였습니다.

안전행정부는 세월호가 침몰하기 시작한 지 1시간 20분이 지난 뒤에야 이 시스템을 통해 '상황을 수시로 보고해 달라'고 지시했습니다.

소방방재청도 사고 상황을 전파하기보다는 헬기 요청에만 활용했고, 해경은 아예 이용하지 않다가 사고 하루 뒤에야 다른 기관의 보고 내용을 확인하는 데 그쳤습니다.

[소방방재청 관계자 : 전화나 팩스 이런 것 위주로 업무를 처리하는 관행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상황전파시스템은 보조적으로 활용된 부분이 (있습니다.)]

[강창일/새정치민주연합 의원,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 다시 새롭게 예산을 들여서 정보화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하는데 그럴 것이 아니라 기존에 있는 정보화시스템을 제대로 활용해 의무화해야 (합니다.)]

수십억 원을 들여 구축한 시스템 하나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면서 예산 낭비는 물론 우왕좌왕식 대응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임우식, 영상편집 : 이승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