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사용후핵연료 처리 '발등의 불'…선진국서 배운다

<앵커>

원자력 발전소에서 나오는 사용후핵연료 처리문제가 발등에 떨어진 불이 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원전 내부의 임시저장소에 보관 중인데, 이르면 내후년부터 포화되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사용후핵연료 처리 실태를 보면 우리도 대안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요.

이호건 기자가 현지 취재했습니다.

<기자>

미국 뉴멕시코주 앨버커키의 사막지대를 달리다 보면, 샌디어 국립연구소가 나옵니다.

이곳에서 사용후핵연료의 운송과 저장, 영구처분에 대한 실험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각종 충격과 화염에 견디는 내구성 실험과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실험도 있습니다.

이런 연구결과가 실제 적용된 버지니아주 노스아나 원전을 가봤습니다.

사용후핵연료를 60년간 보관할 수 있는 노스아나 원전의 건식 저장소입니다.

이곳에서는 3년 전 규모 5.8의 강진이 발생했지만, 방사능은 전혀 유출되지 않았습니다.

[페이지 켐프/노스아나 원전 감독관 : 안전성을 걱정해 반대하는 지역주민들을 초청해 건식저장소 기술이 얼마나 안전한지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우리와 달리 저장 시설의 안전성에 대한 주민들의 신뢰를 얻고 있는 겁니다.

영구처분장 건설도 시간대별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심각한 사회적 갈등을 겪으며 네바다 주에 영구처분장을 건설하려던 계획을 중단한 뒤 2년간의 공론화 과정 끝에 마련한 겁니다.

폐로에서 저장시설을 시험 운영한 뒤 각 원전의 사용후핵연료를 한데 모으고, 단계적으로 영구처분 시설을 운영한다는 계획입니다.

미국은 이미 핵무기 개발과정에서 나온 폐기물을 지하 6백 미터 지점에 묻는 영구처분 시설을 운영해온 경험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문제를 논의하는 공론화 위원회가 지난해 출범했습니다.

하지만 사용후핵연료를 한데 모을지 각 원전에 저장할지 아직 정책 결정도 못 하고 있습니다.

[델 클라인/전 미 원자력규제위원회 위원장 : 한국이 사용후핵연료 문제를 해결하려면 (처분이나 저장 관련) 기술적인 부분과 정책적인 부분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위원회는 올 연말까지 정부에 권고안을 내야 하지만 환경 단체의 참여 거부로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진지한 양보와 타협을 통해 구체적인 대책을 제때 마련하지 못하면 그에 따른 부담과 파장은 더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영상취재 : 조창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